매일신문

"한국에 세금 33억원 낸 넷플릭스, 광고요금제로 3천억원 번다"

그레그 피터스 넷플릭스 CEO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그레그 피터스 넷플릭스 CEO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넷플릭스가 지난해 말 도입한 광고요금제로 한국에서만 연간 3천억원 상당의 광고 매출을 벌어들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국내 광고비가 넷플릭스 등 해외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으로 유출되는 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변상규 호서대 교수는 최근 한국언론학회 봄철정기학술대회에서 'OTT 광고요금제 도입의 효과 전망'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넷플릭스의 국내 광고 매출 규모가 향후 3~5년간 연간 최소 2천687억 원에서 최대 3천716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변 교수는 많은 업체들이 기존 TV 및 디지털 광고를 넷플릭스 광고비로 전환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지상파 광고 매출이 향후 700억~1천200억원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도 함께 내놨다.

그는 "온라인 광고 매출이 1억 원 증가할 때 국내 광고 매출은 68.9% 증가하지만 지상파 광고 매출은 33.8% 감소한다"며 "OTT 플랫폼의 광고 요금제 도입에 따라 국내 방송광고 시장이 더욱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국내 OTT 업계에서 유일하게 흑자를 낸 업체다. 지난해 업계 2, 3등인 티빙과 웨이브가 1천억원대 적자를 낸 반면 넷플릭스는 영업이익 143억원을 기록했다.

문제는 한국에 낸 법인세는 미미하다는 점이다. 넷플릭스가 작년 한국에 낸 법인세는 33억원으로 매출의 0.4%에 그쳤다. 반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넷플릭스 본사가 미국에 낸 법인세는 지난해 7억7천200만달러로 전체 매출의 2.4%에 달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