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하태경 "욱일기와 화해할 때 됐다…욕 들을 각오로 말해"

"세계가 용인했고, 문재인 정부때도 허용했다"

29일 일본 해상자위대 호위함 하마기리 함이 다국적 훈련에 참가하기 위해 욱일기의 일종인 자위함기를 게양한 채로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입항했다. 연합뉴스
29일 일본 해상자위대 호위함 하마기리 함이 다국적 훈련에 참가하기 위해 욱일기의 일종인 자위함기를 게양한 채로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입항했다. 연합뉴스

일본 군함이 '욱일기'를 게양하고 부산항에 입항하면서 논란이 된 가운데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이에 대해 "욱일기와도 이제 화해할 때가 됐다"고 발언했다.

30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한 하 의원은 "인공기 걸어도 우리 사회가 어느 정도 용인하는 분위기 아니냐. 마찬가지로 욱일기하고도 화해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실제로 일본하고 화해한 정도는 북한하고 화해한 정도보다 훨씬 수준이 높다"며 "셔틀외교까지도 하고 이런 상황에서 인공기하고는 화해하면서 욱일기는 끝까지 못 들어오게 한다. 이건 좀 지나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하나 오해하고 있는 것이 독일 나치 문양하고 욱일기는 다르다. 나치 문양은 나치 정당을 상징하는 소위 하켄크로이츠 갈고리십자가, 그건 나치정당을 상징하는 거고 독일 군대를 상징하는 건 철십자기라고 있다"며 "(철십자기는) 독일 군대가 아직도 쓴다. 나치 정당을 상징하는 하켄크로이츠는 금지하고 있다. 욱일기는 일본 군대를 상징하는 것이다. 특히 해군"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진행자의 '일본 해상 자위대가 일본 전범기를 고수하려는 것이 문제 아니냐'는 질문에는 "그게 잘못 오인되고 있는 게 독일 군대도 전통적으로 썼다. 욱일기도 일본 군대에서 계속 썼다"며 "독일 철십자기를 세계가 용인하는 것처럼 일본 욱일기도 세계가 용인한다. 그런데 한국에서 최근 몇 년간 특히 문재인 정부 때 일시적으로 그 이전에는 다 용인했고 오늘 언론에도 보니까 문재인 정부 때도 용인했더라"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욱일기를 심지어 중국 정부도 용인을 한다. 중국 인민들은 비판을 하지만 정부가 독일에 갈고리 십자기처럼 용인하지 않은 적은 없다"며 "저는 이 시점에서 욱일기에 대해서는 화해 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진행자의 '국민감정이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하 의원은 "있다. 그래서 제가 욕들을 각오하고 말씀을 드리는 것이다. 일본 아까 이야기한 똑같은 논리라면 독일의 철십자기도 용인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