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런 정지 또는 반대 방향 작동 등 전철역 에스컬레이터 사고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설비의 17%가 노후 시설로 분류될 만큼 관리가 허술하기 때문이다.
이에 정치권에선 관련 예산 증액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이 19일 한국철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지난 4년간 지하철·전철 역사 에스컬레이터 사고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철 역사 내 에스컬레이터 안전사고는 2020년 613건에서, 2021년 658건(7.3%↑), 2022년 795건(15.3%↑), 2023년 1~6월 278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집계기간 동안 전체 사고발생 건수는 2천344건으로 원인별로 살펴보면 '넘어짐'이 2천79건으로 사고의 88.6%를 차지했다. 뒤이어 소지품 끼임(81건), 개인질병(54건), 미끄러짐(53건), 시설물 접촉 40건(1.7%), 오염·오진입 및 기타 37건(1.5%)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6월 기준 전철역 전체 에스컬레이터 1천869대 가운데 61개역의 319대(17.1%)가 15년이 넘은 노후설비였다. 매일 타고내리는 전철역 에스컬레이터 10대 중 약 2대가 노후설비라는 뜻이다.
한국철도공사는 예산부족을 이유로 노후 엘리베이터 교체가 늦어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에 김병욱 의원은 "노후 에스컬레이터는 최대한 빨리 개량 교체되어야 한다"며 "시민의 안전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노후 에스컬레이터 안전관리와 교체 예산을 증액 편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