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남국, '코인 거래' 발언 하태경 명예훼손 고소…河 "金, 의원직 물러나야"

하태경 "김남국, 본업 망각한 채 국회 상임위 회의 때도 코인 거래"

무소속 김남국 의원이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무소속 김남국 의원이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거액의 가상자산(코인) 보유 의혹으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뒤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된 김남국 의원이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최근 하 의원은 대선 직전인 지난해 1~2월 김 의원이 하루에 많게는 50회 가량 코인 거래를 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는데, 김 의원은 '허위 사실을 단정적으로 말했다'며 맞섰다.

김 의원은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엉터리 사실을 전제로 경솔하게 의혹을 제기한 하태경 의원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사건 초기부터 계속해서 내 돈으로 한 합법적인 투자였다고 해명했지만, 일부 언론과 정치인들은 제대로 된 사실 확인조차 없이 무차별적인 의혹 제기와 정치 공세를 이어갔다. 그 중 하태경 의원의 경우는 정도가 심하다. 거래 횟수와 관련해서 이미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전혀 사실이 아님에도 허위사실을 단정적으로 말했다"며 고소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또 고소 사실에 포함된 특정 SNS 글은 정말 처음부터 끝까지 문장 하나하나 대부분이 엉터리였다. 이런 잘못된 사실을 전제로 명백히 허위인 사실을 유포했다. 조금만 검색해보고 조사해보면 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음에도 그런 노력 없이 SNS와 방송 등에서 단정적·반복적으로 허위사실을 유포했다. 무분별하고 경솔한 하태경 의원의 발언에 대해서 민·형사상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저는 초기 투자금 형성부터 가상화폐 거래 과정 일체에 그 어떤 불법·위법이 없다고 수차례 강조해서 말씀드렸다. 거짓말탐지기 조사까지도 응하겠다고 했다"면서 "검찰이 없는 사실을 쫓느라 더 이상 수사력 낭비, 세금 낭비를 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라고도 했다.

1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시민단체 선진화 특별위원회 5차회의에서 하태경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1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시민단체 선진화 특별위원회 5차회의에서 하태경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의원의 고소 소식에 하태경 의원은 "김 의원이 많은 경우 하루 수십회 코인을 거래했다는 사실은 객관적 데이터를 통해 확인된 사항"이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하 의원은 이날 김 의원 게시글이 올라온 지 약 5시간 뒤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김남국 의원이 하루 수십회 코인 거래했다는 기록, 여기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하 의원은 "한 코인전문매체는 지난 5월 15일 김 의원의 업비트와 빗썸을 제외한 코인거래를 분석한 기사를 보도한 바 있다. 기사에 따르면 김 의원의 코인 지갑 주소는 65개에 달하며 2021년 10월 1일부터 2023년 4월 27일까지 총 2천920건의 거래가 이뤄졌다. 중복을 빼면 1천446건"이라고 짚었다.

이어 "이 중 2022년 하루 20건 이상 거래된 내역만 살펴보면 1월 31일(43건), 2월 14일(49건), 2월 16일(29건), 2월 19일(22건), 3월 8일(20건), 3월 28일(37건), 4월 3일(21건), 4월 21일(57건), 4월 22일(26건), 4월 25일(30건), 5월 8일(23건), 5월 9일(28건, 한동훈 인사청문회), 5월 22일(22건), 10월 21일(23건), 11월 14일(35건)에 달한다"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하 의원은 "여기에는 확인이 불가능한 업비트와 빗썸 등 거래소 거래내역은 포함되지도 않았다. 특히 기사에는 매체가 분석한 김 의원의 거래내역 전체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까지 게시돼 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김남국 의원은 본업을 망각한 채 국회 상임위 회의시간까지 코인 거래를 해 국민의 정치불신을 심화시키고 국회 윤리위에 회부된 상태"라며 "이런 분이 국민에 대한 진정한 사과는 외면하고 오히려 객관적 데이터를 토대로 비판한 저를 고소한 것이다. 윤리위 결정이 나오기 전에라도 스스로 의원직에서 물러나는 것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비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