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의회서 '명복공원 이전' 목소리...洪시장 "화장장 확장이 현실적"

"'밀리터리 타운'처럼, 장사시설 이전 유도할 정책 수단 검토해보겠다"

19일 대구시의회에서 열린 제302차 임시회 본회의에서 이성오 시의원(오른쪽)이 홍준표 대구시장(왼쪽)에게 명복 공원 이전 등 종합 장사시설 건립 방안 마련에 대해 질의하고 있다. 대구시의회 유튜브
19일 대구시의회에서 열린 제302차 임시회 본회의에서 이성오 시의원(오른쪽)이 홍준표 대구시장(왼쪽)에게 명복 공원 이전 등 종합 장사시설 건립 방안 마련에 대해 질의하고 있다. 대구시의회 유튜브

대구시의회에서 포화 상태에 이른 명복 공원의 이전을 포함해 새로운 종합 장사시설 건립 등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에 홍준표 대구시장은 명복공원 현대화를 우선 추진하되, 장사시설 이전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 수단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19일 대구시의회에서 열린 제302차 임시회 본회의에서 이성오 시의원(수성구3)은 "(명복 공원은) 지난해 3월 코로나19 사망자 급증에 따른 화장 시설 부족으로 삼일장 화장률이 20%까지 감소하는 등 국민들이 불편을 겪었다"며 "화장 시설 수급관리의 중요성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종합 장사시설 건립은 대구시의회와 대구시 차원의 과제였음을 상기시켰다. 그는 "과거 시의회에서 여러 차례 명복 공원과 성서공묘지 등 장사시설의 문제점을 지적했고, 종합장사시설 건립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할 것을 요구했었다"며 "대구시는 제2차 장사시설 수립계획(2018~2022년)에서 공모 방식을 통해 종합 장사시설을 공동 추진하는 것이 정책 과제였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2007년에도 명복 공원 장사시설 현대화 계획을 추진했으나 무산된 바 있다. 또 2011년에는 주차장 확장을 추진했으나 이 또한 무산되는 등 명복 공원 시설 개량은 대구시의 큰 숙제로 남아있다. 대구시는 올해 두 차례 주민 공청회를 통해 명복 공원 시설 현대화 추진을 위한 주민 의견을 수렴했는데, 지난해 11월 대구시가 발주한 갈등 및 관리 연구용역의 일환이었다.

이 의원은 현재 명복 공원 부지 인근 지역에 "도심 내 군부대 통합 이전 후 후적지 개발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며 "대구시 미래를 위해 장기적인 방법으로 도심 외곽 지역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촉구한다"고 했다.

홍 시장도 "대구시에서 운영 중인 공동묘지 4곳은 신규 매장이 불가능한 상황인데, 사망자 수와 화장률은 매년 증가 추세"라며 명복 공원과 인근 시립 묘지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고 했다. 이에 "인근 시·군을 대상으로 이전 후보지 실무 검토가 이뤄졌으나, 이전을 위한 조건을 충족하지 아직 진척이 없다"고 했다.

홍 시장이 든 이전 조건은 ▲기초지자체의 강력한 수용 의지 ▲마을 주민의 일치된 동의 ▲ 충분한 인센티브 ▲이용 접근성 확보 등이었다.

홍 시장은 "명복 공원은 인근 주민도 이전을 바라는 일종의 혐오시설"이라며 "명복 공원 확장조차도 반대 여론으로 추진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종합 장사시설 건립까지 계획하기는 굉장히 어려운 입장"이라고 했다. 그나마 명복 공원 시설 현대화 사업 추진이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것이다.

이어 "수성구에 다른 지역보다 문화시설도 많고 혜택이 많은 지역"이라며 "현대화 작업을 해서 장사시설이라도 제대로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홍 시장은 과거 군부대도 이전을 반대하는 지자체가 많았지만, 정주 여건과 복지 시설도 조성하는 '밀리터리 타운' 방식을 동원하자 각 지자체가 유치 운동에 나선 것을 거론하며 "장시시설도 군 시설처럼, 각 지자체가 앞다퉈 이전을 요구할 그런 정책적 수단이 있는지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