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산 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사건 현장서 1천여 점 유해 조각·유품 수습

14년만에 재개한 유해수습에서 확인…유족회 "나머지도 하루빨리 유해 수습 해 달라" 요구

2007~2009년 경산 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 현장 유해발굴 과정에서 수평2굴에 쌓아 두었던 흙더미에 대한 표준조사를 하고 있다. 이 조사에서 사람뼈와 단추 등 34점이 확인됐다. 매일신문DB
2007~2009년 경산 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 현장 유해발굴 과정에서 수평2굴에 쌓아 두었던 흙더미에 대한 표준조사를 하고 있다. 이 조사에서 사람뼈와 단추 등 34점이 확인됐다. 매일신문DB

경북 경산 코발트광산에서 한국전쟁기 민간인 희생자의 인골 조각 및 유품 1천여 점이 추가로 나왔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지난 18일 59차 전체위원회에서 코발트광산 유해수습 관련 용역기관인 한빛문화재연구원으로부터 '경산코발트 광산 희생자 유해수습 최종보고'를 받았다.

지난 3월 23일부터 진행된 경산 평산동 코발트광산 수평 2굴 내 보관돼 있던 1천여포대(15t)를 반출해 정리작업을 한 결과, 1천48점의 인골 조각과 12점의 유품을 수습했다. 수습된 인골 조각은 머리뼈 154개, 치아 51개, 척추 95개, 늑골 247개 등이고, 유품은 탄피, 버클, 단추가 나왔다.

앞서 1기 진실화해위는 지난 2007~2009년까지 경산 코발트광산에서 유해 발굴 당시 나온 유해 잔뼈와 흙 등을 4천여 개의 포대에 담아 이 굴 안에 보관해 왔었다.

진화위는 2001년부터 2009년까지 경산 코발트광산의 제1·2 수평갱도, 제1 수직갱도, 대원골 일대 등에서 네 차례의 유해발굴을 해 394구의 유해를 수습한 바 있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군경에 의해 민간인 수천 명이 재판도 없이 학살된 경산 코발트 폐광산 수평2굴에 대해 2007~2009년 유해발굴 작업을 하다 중단된 이후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 최승호 이사가 굴 안에 쌓아둔 흙포대를 살펴보고 있다. 매일신문DB
1950년 한국전쟁 당시 군경에 의해 민간인 수천 명이 재판도 없이 학살된 경산 코발트 폐광산 수평2굴에 대해 2007~2009년 유해발굴 작업을 하다 중단된 이후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 최승호 이사가 굴 안에 쌓아둔 흙포대를 살펴보고 있다. 매일신문DB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는 그동안 유해 수습 작업조차 하지 못한 갱도 내 유해발굴과 유해발굴 과정에서 다 수습하지 못하고 갱도내 쌓아 둔 3천여개 포대에 대한 수습 작업을 하루빨리 진행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경산 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사건'은 6·25전쟁 때인 1950년 7~8월 경산, 청도, 대구, 영동 등지에서 끌려온 국민보도연맹원 및 요시찰 대상자들과 대구형무소에 수감돼 있던 재소자 중 상당수가 재판 절차 없이 군경에 의해 집단 희생된 사건으로, 유족회에서는 3천500여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