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끊이지 않는 금융권 임직원 횡령…지난해 826억으로 크게 늘어

2017년 이후 총 202명이 1천816억 횡령
강민국 의원 "CEO까지 책임 묻는 제도 개선 이뤄져야"

5대 시중은행 로고. 연합뉴스
5대 시중은행 로고. 연합뉴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

지난해 국내 금융업권에서 역대 최고 수준의 임직원의 횡령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에도 천문학적 수준의 횡령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에서 금융감독원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국내 금융업권 임직원 횡령 사건 내역'을 살펴보면 지난 2017년~2023년 7월까지 금융업권에서 횡령을 한 임직원 수는 202명에 달했다. 이들이 횡령한 금액만도 1천816억590만원이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7년 45명(89억8천870만원) ▷2018년 37명(56억6천780만원) ▷2019년 27명(84억5천870만원) ▷2020년 31명(20억8천290만원) ▷2021년 20명(156억4천860만원) ▷2022년 30명(826억8천200만원) ▷2023년 7월까지 12명 580억7천630만원으로 지난해부터 횡령금액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금융권 내부통제 제도개선 TF'를 운영하고, '금융회사 내부 통제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음에도 횡령 사고는 더 증가한 것이다.

업권별로 횡령한 임직원의 규모를 살펴보면 은행이 113명(56.0%)으로 가장 많았고, 보험 59명(29.2%), 증권 15명(7.4%), 저축은행 11명(5.5%), 카드 4명(2.0%) 순이다.

횡령한 금액 규모 역시 은행이 1천509억8천10만원(83.1%)으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저축은행 169억2천180만원(9.3%), 증권 86억9천600만원(4.8%), 보험 47억4천200만원(2.6%), 카드 2억6천600만원(0.2%) 순이었다.

은행(저축은행 포함) 임직원 횡령의 경우 최근 들어 전체 금융업권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부터 현재(올해 7월)까지 발생한 임직원 횡령은 총 42건인데, 이 중 은행 임직원 횡령 건수는 36건으로 약 85.7%이며 횡령금액은 99.4%(은행 1천399억2천930만원/전체 1천407억5천830만원)에 달한다.

은행 중에서 횡령 직원이 가장 많은 은행은 하나은행(21명)이고, 횡령 규모가 가장 큰 은행은 우리은행으로 733억3천110만원에 달했다.

천문학적 규모의 금융업권 임직원이 횡령한 은행 돈은 환수 또한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2017년~2023년 7월까지 발생한 1천816억590만원 횡령액 중 환수된 금액은 224억 6천720만원으로 환수율이 12.4%밖에 되지 않았다. 특히 은행의 경우 환수율은 7.6%(환수금 114억9천820만원/전체 1천509억8천10만원)에 불과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급증하고 있는 은행 임직원 횡령 사건의 원인에 대해 '은행 임직원의 준법의식 취약 및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은행 내부통제가 실효성 있게 작동하지 못한데 기인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강민국 의원은 "1년 동안 금융 당국이 연달아 금융권 내부 통제 제도 개선을 발표했음에도 오히려 횡령 사고가 더 증가했다는 것은 동 대책들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금융업권의 횡령을 이대로 내부통제 문제로만 인식한 채 셀프 준법경영 문화 정착에만 집중한다면 횡령은 만연할 수밖에 없기에 반드시 철저한 관리 감독과 CEO까지 책임을 묻는 강력한 제도 개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