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文, 섬진강 수해 극복 3주기 행사 참석 "생명·안전이 먼저인 세상 만들어야"

문재인 전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열린
문재인 전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열린 '섬진강 수해 극복 3주년 생명 위령제'에 참석해 수해에 희생된 소를 기리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열린
문재인 전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열린 '섬진강 수해 극복 3주년 생명 위령제'에 참석해 수해에 희생된 소를 기리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이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열린
문재인 전 대통령이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열린 '섬진강 수해 극복 3주년 행사'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열린
문재인 전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열린 '섬진강 수해 극복 3주년 생명 위령제'에 참석해 주민에게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전남 구례에서 개최된 '섬진강 수해 극복 3주년 생명 위령제'에 참석해 "생명이 먼저고 안전이 먼저인 세상을 함께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8일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열린 위령제에서 문 전 대통령은 "사람이든 가축이든 생명을 무엇보다 소중하게 여기는 아름다운 마음이 지금까지 위령제를 이어가게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양정마을은 지난 2020년 8월 8일 집중호우로 인해 섬진강 지류인 서시천 제방이 무너지면서 마을 대부분이 침수됐다. 당시 가축 2만2천824마리가 죽고, 주택 711동이 물에 잠기는 등 양정마을뿐만 아니라 구례읍 시가지 상당 지역이 피해를 봤다.

문 전 대통령은 "3년 전 양정마을은 전국에서 수혜를 가장 크게 입었던 곳"이라며 "지금도 복구가 다 되지 않았을 것이고 마음의 상처도 많이 남았을 텐데 꿋꿋하게 다시 일어서 양정마을을 활기찬 곳으로 다시 만들어 냈다"고 위로의 말을 건넸다.

그러면서 "인간이 자연재해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용기와 희망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수해 당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많은 소들이 목숨을 잃거나 떠내려갔다. 양정마을은 소들의 죽음을 재산 피해로만 여기지 않고 이들을 위한 위령제를 3년째 올리고 있다"며 "소를 재산이 아니라 가족처럼 여기는 등 생명을 무엇보다 소중하게 여기는 그 아름다운 마음이 지금까지 위령제를 이어가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섬진강 수해 극복 3주년을 맞아 열린 양정마을과 경남 양산시 평산마을 간 자매결연 행사에 참석해 주민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섬진강 수해 극복 3주년을 맞아 열린 양정마을과 경남 양산시 평산마을 간 자매결연 행사에 참석해 주민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문 전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의 위령제 참석은 대통령 재임 시절 구례읍 수해복구 현장을 방문했던 인연으로 양정마을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

양정마을은 퇴임 후에도 3년 전 수해를 잊지 않고 찾아준 문 전 대통령의 뜻을 잊지 않기 위해 이날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과 자매결연을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자매결연식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촌 마을 간의 연대뿐만 아니라 영호남 화합을 위한 상징이라는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위령제에는 김순호 구례군수, 서동용 더불어민주당 의원, 양정마을과 평산마을 주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