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의 부채가 사상 처음으로 200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전기요금 인상으로 수익구조를 개선했음에도 불구하고 올해도 수조원대 영업손실을 낼 것으로 전망돼, 자금조달 한계 상황에 도달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22일 한전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연결 기준 한전의 총부채는 201조4천억원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 상장사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전의 총 부채는 작년 말 192조8천억원에서 반년 새 8조원가량 늘었다. 2020년 말 한전의 부채는 132조5천억원 수준이었지만, 2021년 145조8천억원, 2022년 192조8천억원으로 매년 급증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외부 악재로 급등한 국제 에너지 가격이 전기요금에 온전히 반영되지 않아 막대한 영업손실을 본 것이 총부채 급증의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작년부터 5차례 단행된 전기요금 인상과 올해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전기 판매 수익 구조가 정상화됐으나, 재무 구조는 여전히 취약한 상태로 평가된다.
최근 3개월 이내 한전에 대한 전망을 발표한 증권사들의 전망치(컨센서스)를 집계한 결과, 한전은 3분기 1조7천억원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10개 분기 만에 적자 탈출에 성공하겠지만, 4분기에는 다시 5천억원의 적자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전망이 현실이 된다면 한전은 내년 신규 한전채 발행 등 자금 조달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한국전력공사법에 따라 한전은 자본금과 적립금 합계의 5배까지 한전채를 발행할 수 있다. 작년 말 기준 한전의 자본금과 적립금 합계는 20조9천200억원으로, 5배인 104조6천억원까지 한전채를 발행할 수 있다.
문제는 시장 전망대로 올해 수조원대 추가 영업손실이 날 경우 내년 이뤄질 한전채 발행 한도가 약 70조원으로 줄어든다는 점이다. 이는 현재(7월 말 기준) 한전채 발행 잔액인 78조9천억원보다 낮은 수준이다.
한전은 2021년 이후 급증한 누적 적자를 점진적으로 해소하고재무 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추가 전기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한전은 이달 11일 2분기 실적 발표 시 "2023년 말 대규모 적립금 감소와 향후 자금 조달 제한이 예상된다"며 "재무 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원가주의 원칙에 입각한 전기요금 현실화, 자금 조달 리스크 해소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