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창작자'의 수익이 2년 새 10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가 전체 수익의 24.8%를 가져가는 부익부빈익빈 현상도 확인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북 익산시을)이 3일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종합소득세를 신고한 '1인 미디어 창작자'의 수입금액은 2019년 875억1천100만원, 2020년 4천520억8천100만원, 2021년 8천588억9천800만원으로 2년 새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신고인원 또한 2019년 2천776명, 2020년 2만756명, 2021년 3만4천219명으로 크게 늘었다.
아울러 종합소득세를 신고한 1인 미디어 창작자 중 소득 상위 1%에 해당하는 창작자의 수입금액은 2019년 181억2천500만원, 2020년 1천161억4천900만원, 2021년 2천438억6천500만원으로 증가했다.
2021년 기준 이들은 창작자 전체 수입금액의 약 24.8%, 1인당 평균 7억1천300만원의 수입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종합소득세를 납부하면서 선택한 '1인 미디어 창작자' 업종코드는 2019년 국세청이 유튜버 열풍 대응 차원에서 신설했다.
'1인 미디어 창작자'는 인터넷방송진행자(유튜버, BJ, 스트리머)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인터넷·모바일 기반의 미디어플랫폼 환경에서 영상콘텐츠 제작 및 공유로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자다.
법인세를 납부한 미디어콘텐츠 창작기업 또한 2020년 71개에서 2022년 870개로 크게 늘었고, 수입금액도 2020년 323억원에서 2022년 3천554억원으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한병도 의원은 "일부 유튜버가 개인 계좌나 가상자산을 이용해 후원금을 수령하는 등 세금 탈루 수법이 갈수록 진화하고 있다"며 "과세당국은 유튜버의 자진신고에만 의존하지 말고 사각지대 해소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