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친명(친이재명)계로 사실상 확정됨에 따라 최고위원부터 원내대표까지 친명 일색 지도부로 꾸려지게 됐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사법리스크 대응 강화 기조가 예상되는 가운데, 선거 유불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25일 민주당에 따르면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로 비명계 중심 원내지도부가 총 사퇴하고, 친명계 원내대표를 선출하게 되면서 수개월 만에 친명 일극 체제로 복귀하게 됐다.
일각에서는 친명계가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 여파에도 당권 장악에 성공하면서 공천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26일 법원이 이 대표에 대한 구속 영장을 발부하더라도 사법 탄압 프레임을 이어가면서 친명체제를 공고히 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아울러 비명계가 이 대표에 대한 법원의 영장 발부 시 역공에 나서도 이미 당내 주도권을 상실한 상태에서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정치권에서는 친명계 일극체제 구축 시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점점 더 심화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총선을 앞두고 오히려 큰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수도권이 주요 격전지가 될 예정인 가운데 초접전 승부 지역이 많다는 점에서 중도층 여론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이어 캐스팅보트인 중도층 표심이 유동적인 탓에 사법리스크 여파로 정쟁 구도 유지 및 계파 갈등까지 심화될 경우 투표 참여율 저조 등 민주당으로서는 불리한 변수가 생길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계파 갈등이 이미 회복되기엔 선을 넘었다는 의견도 당 안팎에서 제기된다. 친명계는 이미 체포동의안 가결표를 해당행위로 보고 상응하는 조치를 비명계에 예고하면서 극단으로 치달은 상태다.
친명계 정청래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과 윤석열 정권에 놀아난 민주당 가결파들의 폭거도 기가 막히다"고 직격했다.
정 최고위원은 또 SNS를 통해 "체포동의안 가결을 놓고 민주당 모두가 잘못했다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잘못은 잘못한 사람이 잘못한 것"이라며 책임 소재를 분명히 했다.
이에 비명계 조응천 의원은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방탄 프레임을 깨고 우리 당이 제대로 된 방향으로 가기 위한 정치적 행동(가결 투표)을 '해당행위'라고 하는 건 진짜 적반하장"이라고 반박했다.
이런 가운데 문재인 전 대통령이 최근 잦은 메시지 전달을 비롯해 외부 공개 행보를 늘리는 것도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친명계로 당권 무게 추가 쏠리면서 지도부에 대한 견제가 어려운 만큼, 총선을 앞두고 당 지지율 상승에 실패할 경우 친문(친문재인)‧비명계가 문 전 대통령을 중심으로 선거를 치르기 위해 나설 수도 있다는 얘기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