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먹거리 물가 10년만에 '3년 연속 5%대'…저소득층 식비 직격탄

올해 식료품·비주류음료 5.1% 올라…1분위 계층 가처분소득의 절반이 식비

최근 물가 오름세가 지속하자 정부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우유와 커피 등 주요 식품의 물가를 품목별로 집중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개 주요 품목의 담당자를 지정해 물가를 전담 관리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연합뉴스
최근 물가 오름세가 지속하자 정부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우유와 커피 등 주요 식품의 물가를 품목별로 집중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개 주요 품목의 담당자를 지정해 물가를 전담 관리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연합뉴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식료품·비주류음료의 물가가 5% 이상 오르며 2011년 이후 처음으로 3년 연속 5%를 넘겼다. 먹거리 물가의 고공행진에 저소득 계층 부담이 커지고 있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10월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5.1% 올랐다. 누계비 기준 올해 식료품·비주류음료의 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까지 5% 이상을 유지하다가 7~9월 4.9%로 내려왔으나 지난달에 다시 상승했다.

연간 기준으로 보면 2019년 0.0%에서 2020년 4.4%로 오른 뒤 2021년 5.9%, 지난해 5.9%를 기록했다. 이대로라면 올해까지 3년 연속 5%를 넘기는데, 이는 2009~2011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최근 먹거리 물가 상승은 원유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가공식품 등의 물가가 오른 영향이다. 여기에 이상기온까지 겹치면서 과일·채소류 등의 가격도 오름세다.

외식 등 음식서비스 물가는 더 큰 폭으로 오르는 중이다. 올해 1~10월 음식서비스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6.4% 올랐다. 음식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7.7% 상승해 1992년(10.3%)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먹거리 물가의 오름세는 소득이 낮은 계층에게 특히 부담이었을 것으로 분석된다. 2021년부터 지난 2분기까지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식료품·비주류음료에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25만8천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월평균 가처분소득(87만9천원)의 29.4%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여기에 음식서비스(식사비)로 지출한 금액(13만1천원)까지 더하면 1분위 가구는 식비로 월평균 39만원(44.4%)을 지출했다. 식비 지출이 처분가능소득의 절반에 육박하는 셈이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식비 비중은 소득 2분위 25.7%, 3분위 22.4%, 4분위 19.8%, 5분위 14.5%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컸다.

정부는 이상기온으로 생육 시기가 늦어진 데 따라 최근 농산물 가격이 오름세를 보였다며, 연말로 갈수록 안정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정부는 또 배추·무 등 김장 재료 할인을 확대하고 수입 과일과 식품 원료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는 등 먹거리 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아울러 매주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어 상시로 물가 대응 체계를 가동하기로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