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尹, '부산축' 균형발전 제시…TK도 새 그랜드플랜 세워라

29일 尹대통령, 엑스포 불발에도 '서울·부산 두개의 축' 방향 제시
영남권 각종 어젠다 부산으로 넘어가 TK가 주변에 머무는 결과 우려
신공항·달빛철도 SOC 챙기고 내년 총선 미래의 場 조성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2030엑스포 부산 유치 실패와 관련,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2030엑스포 부산 유치 실패와 관련,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9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청사 외벽에 걸려 있던 엑스포 응원 현수막이 철거되고 있다. 연합뉴스
29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청사 외벽에 걸려 있던 엑스포 응원 현수막이 철거되고 있다. 연합뉴스

2030세계박람회(엑스포) 부산 유치가 불발로 끝났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부산 두 개 축을 정부 균형발전 핵심 방향으로 제시함에 따라 대구경북(TK)의 발걸음도 바빠졌다.

영남권의 각종 아젠더가 부산을 중심으로 논의될 경우 자칫 TK가 주변에 머무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TK 신공항 등 본궤도에 올라선 지역발전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것은 물론 신규 그랜드 플랜 마련에 더 힘을 쏟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29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대국민 담화에 나서 부산엑스포 유치 실패의 책임을 자신에게 돌리면서도 이번 유치전이 현 정부의 핵심 기조인 균형발전 전략에 맞닿아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특히 국토 균형발전 전략으로서 서울(수도권·충청·강원 포괄)과 부산(영·호남 포괄)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발전하는 게 올바른 방향이라고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2025년 엑스포를 개최하는 일본 오사카를 사례로 들며 "'대한민국'하면 서울밖에 모른다"며 "일본 하면 전 세계적으로 도쿄·오사카 두 개 축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향후 정부가 균형발전 전략을 계획할 때 부산을 구심점으로 하고 TK 등은 주변으로 밀려날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는 얘기다.

당장 정부가 당분간 엑스포 유치 실패에 따른 민심을 고려해 부산 중심의 균형발전 정책 제시에 힘을 실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35년 엑스포 재유치에 나설지 여부에도 이목이 집중된다. 기존에 엑스포 유치와 연계해 추진하던 가덕도신공항 건설 등 사업 추진이 흔들림 없이 진행될 것이란 점도 재확인할 전망이다. 부산형 차세대 급행철도 개통, 부울경 광역교통망 확충 등 유관 현안 사업의 차질 없는 진행도 주요하게 거론될 대상으로 꼽힌다.

이런 가운데 TK도 존재감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요청이 제기된다. TK 신공항 건설 및 후적지 개발 사업, 달빛철도특별법 제정, TK 일대 계획된 국가산업단지조성, 각종 사회간접자본(SOC) 건설 등 지역현안을 면밀히 챙겨야 한다는 주문이 우선 나온다.

부산과 경쟁 중인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에 더 가열찬 노력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다.

더욱이 내년 총선을 앞두고 지역 정치권이 TK 신공항을 넘어서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요구가 적잖다. 민선 7기 이철우 경북도지사·권영진 전 대구시장 당시 추진했던 TK 행정통합과 같은 그랜드 플랜을 신규 발굴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비록 실패했지만 부산이라는 광역자치단체가 세계를 무대로 엑스포 유치 도전을 했다는 것은 국민들에게 큰 영감을 줬던 게 사실"이라면서 "TK 역시 시도민이 더 큰 미래를 꿈꿀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내년 총선은 이를 위한 장이 돼야 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