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대교수협 "월요일부터 주 52시간만 진료…교수들 사직 지지한다"

정부가 내년부터 의과대학 입학 정원 2000명을 늘리는 방안을 확정 발표한 지난 20일 대구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의사와 시민들이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정부가 내년부터 의과대학 입학 정원 2000명을 늘리는 방안을 확정 발표한 지난 20일 대구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의사와 시민들이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대표들이 이달 25일부터 근무시간을 주 52시간으로 줄이겠다고 예고했다.

조윤정 전의교협 비대위 홍보위원장은 21일 브리핑을 열고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와 진행한 총회 결과를 발표했다.

전의교협은 오는 25일부터 주 52시간 이내 외래진료·수술·입원 진료를 유지하기로 했다.

전공의들의 병원 이탈로 지난달 20일부터 대학병원에서 근무 중인 교수들은 전공의들의 당직 근무를 대신 하면서 평소보다 배 이상 격무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위원장은 "(전공의들이 이탈한 지) 5주째 들어서면서 교수들이 사직서를 내기 전 순직할 판"이라며 "지난 5주간 뿌려진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 때문에 심리적 압박을 받고 있다. 우울하고 불안해하고 무력감하고 밤 잠도 못 잔다. 당직을 서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주일에 어떤 분은 3번 당직을 서면서 밤을 새고 그 다음날 아침에 또 나온다"며 "이렇게 피로가 누적되면 결국 환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에 처해진다"고 강조했다.

특히 다음 달 1일부터는 응급·중증환자의 안정적인 진료를 위해 외래진료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조 교수는 "체력이 버티는 한 교수들이 최대한 안전하게 환자를 진료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이라면서 "4월 1일 이후에도 응급환자·중증환자의 안정적인 치료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의 증원 방침에 반발 의대 교수들은 오는 25일부터 단체로 사직서를 제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 교수는 "25일 시작되는 의대 교수들의 자발적 사직은 현 사태에서 취할 수 있는 마지막 선택임을 이해한다"며 "전의교헙은 각 대학 교수들의 선택을 지지하며, 거의 모든 대학에서 교수님들이 자발적 사직을 선택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 대한전공의협의회, 전의교협, 대한의사협회 모두 머리를 맞대고 우리 국민과 환자들의 건강을, 또 필수·지역 의료를 회생시키기 위해 다 함께 머리를 맞대고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의교협은 전국 총 40개 의과대학 중 39개 대학이 참여하는 단체로,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 발표 후 의정 갈등이 시작되자 전의교협 측은 김창수 전의교협 회장(연세대 의대 교수협의회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