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롯데 회장의 장남 신유열 전무가 한국 국적을 회복하고 경영 승계에 속도를 낼지 관심이 쏠린다. 현재 일본 국적의 신 전무가 30일 만 38세가 되면서 한국 국적을 회복하더라도 병역 의무가 면제되기 때문이다.
재계에 따르면 신 전무는 1986년 3월 30일생으로 이날 만 38세가 됐다. 신 전무는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으나 일본 도쿄에서 성장해 현재 일본 국적을 보유 중이다.
2020년부터 롯데 계열사에서 근무를 시작하면서 한국과 일본으로 오가며 경영 수업을 밟고 있는 신 전문가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경영 승계작업을 시작하고 경영 일선에서 활동하기 위해 한국 국적 회복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구나 국내 병역법 상 만 38세가 되면 병역 의무가 소멸되기 때문에 올해 국적 회복 가능성이 점쳐지는 상황이다.
아버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역시 병역 의무가 사라진 만 41세에 한국 국적을 취득했고, 이듬해에 롯데 부회장으로 승진하며 본격 승계에 속도를 냈다.
신 회장은 일본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경영학석사(MBA) 과정을 밟았으며 노무라증권과 일본 롯데상사 등을 거쳐 35세 때인 1990년 롯데케미칼의 전신인 호남석유화학에 입사했다.
신 전무도 일본에서 대학을 나와 컬럼비아대에서 MBA를 받고 노무라증권 싱가포르 지점을 거쳐 2020년 일본 롯데와 일본 롯데홀딩스에 부장으로 입사해 아버지와 똑같은 경로를 밟고 있다.
작년부터는 신 회장의 해외 출장에 동행하고 사장단 회의에도 참석하며 본격적인 경영수업을 받기 시작했고 작년 말 인사에서 전무로 승진해 롯데지주에 신설한 미래성장실장과 롯데바이오로직스의 글로벌전략실장을 맡았다. 이달 초에는 롯데바이오로직스 사내이사로도 선임됐다.
신 전무는 또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을 겸하며 롯데 계열사들이 현재 영위하는 사업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지를 들여다보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데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재계에서는 신 전무가 아직 핵심 계열사들의 지분을 보유하지 않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경영수업을 본격적으로 받고 있지만 롯데 승계를 위해서는 복잡하게 얽혀있는 한일 롯데 핵심 계열사 지분을 무리 없이 확보하는 것이 신 전무의 최우선 과제로 꼽힌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위기의 건설업, 올해 들어 2천569개 건설사 사업 포기
'김현지 국감 출석' 여야 공방…"진실 밝혀야" vs "발목잡기"
'캄보디아 납치' 인도는 1천명 구출, 한국은 뒷북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