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지난 시절의 기억을 확인하기 위해 지난 8~9일 시내 여러 술집을 누볐다. 현재 지역 문화계 최고령 현역 주당이기도 한 80대 초반의 도광의 시인과 홍종흠 전 매일신문 논설주간을 남산동 '도루묵식당'으로 초대해 대담인터뷰를 벌였다. 도 시인이 잊혀져 가던 대구가 낳은 낭만시인 박훈산을 추억하는 육필 원고를 내밀었다. 이하는 간추린 내용이다.
이봉구가 '명동백작'이라면 박훈산은 큰 발로 큰 키로 걸어 다닌 '지역 대감'이었다. 향촌동 다방마담을 짝사랑하다 자살 소동까지 일으키기도 했다. 바람이 무성할 때는 '가보세', '혹톨', '쉬어가는 집'에 나타나 술을 마셨고, 바람이 시들어갈 무렵에는 행복‧은정‧밀밭식당에 가끔 자리했다. 아주까리 밤 수풀이 휘청이도록 술을 마셨다. 술값 떼어먹는 것이 항다반사인데도 술집 주모들은 바람맞아 구겨진 마음을 잘 다림질해 주었다. 박훈산이 걷지 않는 대구거리는 낭만이 죽고 무미건조한 도시로 바뀌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