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TK) 행정통합 추진에 속도가 붙었다. 다음 달 4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TK 행정통합 청사진을 논의하기 위해 서울에서 4자 회담을 갖는다. 4자 회담은 윤석열 대통령이 TK 행정통합 지원 방안을 마련하라고 긴급 지시한 데 따른 조치다.
4자 회담에서는 TK 행정통합의 필요성과 추진 방향,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홍 시장과 이 지사는 행정통합이라는 원칙적인 목표에 합의했다. TK 행정통합 작업의 실무를 맡을 태스크포스(TF)는 지난 23일 첫 회의에서 TK 통합이 화학적 결합을 통한 '질적 통합'이 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TK 통합이 성공하려면 주민 공감대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 대구시, 경북도, 정부는 통합이 왜 필요한지 주민들에게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통합은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다. 통합은 수도권 일극 체제 타파, 지방 소멸 억제, 인구 절벽 해소, 주민 삶의 질 향상 등을 위해 논의되고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통합은 주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 지금껏 부산·울산·경남 등 여러 지자체의 통합 논의가 실패한 이유는 주민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통합의 실익이 없기 때문이다.
TK 통합으로 지역의 위상과 주민의 삶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제시돼야 한다. 통합을 해도 별반 다를 게 없다면, 통합 논의는 동력을 얻을 수 없다. 2010년 마산·진해·창원시 통합이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를 돌이켜봐야 한다. 덩치만 커졌을 뿐 질적인 변화가 없어서다. 이번 4자 회동은 핵심 의제로 중앙정부의 권한을 이양하는 문제를 다뤄야 한다. 중앙정부가 권한을 틀어쥐고 있는 한 통합은 수도권 쏠림 및 지방 소멸을 해소할 수 없다. TK 통합은 중앙정부 권한을 대폭 이양해, 미국의 주(州) 정부와 같은 연방제 수준의 지방분권형으로 추진돼야 한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강조한 '연방제 수준의 지방시대'와 부합한다.


































댓글 많은 뉴스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트럼프 "한국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
李 대통령 지지율 57%…긍정·부정 평가 이유 1위 모두 '외교'
李 대통령 "韓日, 이웃임을 부정도, 협력의 손 놓을수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