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접투자(FDI)가 1분기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속되는 고금리 기조와 중동 지정학적 위험이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해외직접투자액은 150억9천만달러(총투자액 기준)로 작년 1분기(176억8천만달러)보다 14.6% 하락했다.
해외직접투자액은 2022년 4분기를 시작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4분기 4.5% 늘며 증가했으나 1분기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업종별로 광업(6억3천만달러)이 1년 전보다 46.4% 줄어 가장 감소율이 높았다. 제조업(-35.9%)과 금융 보험업(-17.8%)도 감소 폭이 컸다.
부동산업(177.3%)과 전문과학기술업(156.9%)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기재부는 "항공 모빌리티와 2차전지 등 혁신산업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며 "수익 다변화를 위해 부동산 등 해외 대체투자가 점차 확대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국가별로는 미국 해외직접투자가 61억2천만달러로 1년 전보다 29.8% 줄었다.
룩셈부르크는 1년 전보다 71.8% 증가한 16억4천만달러를 기록해 미국에 이은 2위 투자국으로 올라섰다.
지역별로 북미는 31.0%, 아시아는 9.7%, 중남미는 39.6% 투자가 줄었다. 유럽에 대한 투자는 58.2%, 아프리카는 773.5%, 중동은 616.9% 증가했다.
기재부는 "해외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이 안정적으로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주요 투자 대상 국가와 다각도로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