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3국 외교당국은 공동성명을 통해 최근 심화하는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 움직임을 규탄하며 대응 공조 의지를 다졌다.
24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구래 외교부 외교정보전략본부장, 정 박 미국 국무부 대북고위관리,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이날 유선협의를 갖고 최근 북러관계 동향에 대해 논의하고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공동성명에서 "북한에서 러시아로의 지속적인 무기 이전을 포함한 러북 간 군사 협력 심화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며 "이러한 무기 이전은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연장하고,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며, 동북아시아와 유럽의 안정을 위협한다"고 지적했다.
북러 관계 발전에 대해서도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 국제 비확산 체제를 준수하며, 우크라이나 국민이 러시아의 잔인한 침략에 맞서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는 것을 지원하려는 모든 이들에게 중대한 우려 사항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미일은 북러 간 밀착 강화에 대응해 3국 간 협력을 더욱 긴밀히 할 방침이다.
이들은 "한미일은 지역 및 세계 안보에 대한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상황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외교 및 안보 협력을 더욱 강화할 의사를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또한 "대화의 길이 열려 있음을 재확인"한다며 북한이 추가 도발을 중단하고 협상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했다.
이 같은 압박에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24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은 크렘린궁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번 북한 방문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전례없이 높은 수준에 올랐다"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을 환영한다"고 밝힌 것. 그는 또 "이번 국빈 방문은 모스크바와 평양 간의 관계가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라는 전례 없이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다는 점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지닌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