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치사에는 국민의 기대를 한 몸에 받은 대형 정치 신인의 등장이 적지 않았다. 정치에 본격적으로 발을 담그자마자 거의 대선주자 반열에 올랐고, 일거수일투족이 국민의 관심과 더불어 언론의 조명을 받았다.
윤석열 대통령이 어찌 보면, 대형 정치 신인이 '별의 순간'(대통령 당선)을 잡은 첫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오로지 검찰에만 몸담고 있다가 문재인 전 정권에 맞서며 단숨에 야당의 대선주자가 되어 대권까지 거머쥐었다. 첫 선출직이 단체장도 국회의원도 아닌 바로 대통령이었던 것.
검사 시절, 윤 대통령과 호형호제(呼兄呼弟, 형-동생)할 정도로 찰떡궁합을 자랑했던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 역시 다음 대선에서 정권재창출의 선봉장을 자처하면서, 정치판에서 열심히 헤엄을 치고 있다. 하지만 삐끗하면 익사(정치 생명 끝)할 수도 있다.
4월 총선에서 쓰디쓴 패배를 맛본 한 전 위원장은 다음 달 말에 열리는 전당대회에 당 대표가 된 후에 2027년 대선에서 이 나라의 행정 수반이자 국군 통수권자가 되고자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다시 한번 시험대에 오른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한 전 위원장은 지난 4월 총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직을 사퇴한 후에 3개월 정도 2선으로 물러났다. 하지만 이내 더 큰 꿈을 위한 도전을 시작했다.
바로 당권을 장악한 후에 3년 후 대권까지 손아귀에 넣겠다는 당찬 포부를 슬며시 내비치고 있다. 현재 4파전(원희룡-나경원-윤상현-한동훈) 구도 속에 여론조사에서는 50% 안팎의 지지율로 단연 1위를 내달리고 있다.
하지만 한 전 위원장이 '별의 순간'까지 탄탄대로를 걸을 것 같지는 않다. 당장 호형호제했던 윤 대통령과의 관계가 점점 멀어지고 있다. 둘 사이에는 별 문제가 아닐 수 있지만 권력이란 부자간에도 나눠 갖지 않는 속성이 있다.
대통령실 핵심 참모들과 친윤 세력들이 앞장서서 '밉상 한동훈'(대통령을 넘어서려 하는 태도)으로 낙인 찍으려 하고 있다.
이에 더해, 지난 당 대선 경선에서 윤 대통령과 박빙의 승부를 겨룬 홍준표 대구시장은 총선 이후 연일 십자포화 발언(총선 말아먹은 애 등)을 쏟아내고 있다. 당 대표 경선에 나선 다른 후보 3명의 '한동훈만 집중적으로 때리기' 역시 갈수록 강도를 더하고 있다.
당내 강성 보수세력 역시 한 전 위원장의 정체성을 의심하며, 황교안 전 대표와 이준석 전 대표처럼 중도 확장을 명분삼아 좌파 세력들에 이용당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정동영-반기문-안철수 등 용두사미(龍頭蛇尾) 케이스 많아
대형 정치 신인이 대선을 앞둔 여론조사에서 1,2위로 치고 나간 케이스는 적지 않다. 기존 정치인의 식상함과는 달리 신선함으로 국민적 기대를 한몸에 받으며, 새 정치의 깃발을 꽃았지만 결국은 별(대통령) 바라기에 그쳤다.
정동영 의원은 DJ가 발탁한 언론인(MBC 뉴스데스크 메인 앵커)으로 초선부터 승승장구해 대선 후보가 됐지만, 2007년 말 대선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500만 표 이상의 격차로 낙마하고 말았다. 그 후로는 대선주자로 경쟁력을 잃고 말았다.
반기문 전 UN사무총장의 경우에도 2017년 대선을 앞두고 반짝 샛별처럼 등장해, 전 국민의 존경과 사랑을 한 몸에 받는 듯 했으나, 불과 몇 개월만에 정치판의 진흙탕 싸움에 진절머리를 느끼고 스스로 낙마하고 말았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의사이자 기업가 출신의 유명 인사로 국민적 사랑을 받다, 과감하게 정치에 몸을 던졌다. 새 정치를 지향하며, 신당을 창당하는 등 돌풍을 일으켰지만 중요한 고비 때마다 중량감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게다가 여당와 야당을 오가는 철새 정치인의 이미지마저 덧씌워졌다.
한 전 위원장도 이번 당 대표 선거가 큰 고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칫, 낙마할 경우 대선까지 바라보지도 못하고 정치 생명이 꺾일 수도 있다. 특히 자신을 키워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윤 대통령을 넘어서려는 태도는 큰 위험이 될 수 있다.
윤 대통령은 덕장(德將)에 가깝다면, 한 전 위원장은 지장(智將) 쪽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머리만 뜨겁고, 가슴은 차가운 스타일로 자칫 자기 발등을 자기가 찍을 수도 있다. 한 때의 뜨거운 국민적 관심과 사랑도 식는 것은 한순간이다.
댓글 많은 뉴스
김상욱, '소년 이재명 성범죄 가담' 주장 모스탄에 "추방해야"…이진숙 자진사퇴도 요구
"전작권 전환, 초기 비용만 35조원"…국힘 '정부 국방정책 점검 토론회'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