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3 전당대회를 앞둔 국민의힘 선거인단 규모에서 영남권과 수도권이 비등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표심이 얼마나 결집할지, 표심이 누구를 향할지 이목이 집중된다.
앞선 전당대회에서 영남권을 중심으로 친윤계로 표가 결집해 승부가 갈린 바 있어 이번 전당대회에서도 같은 흐름이 나타날지도 주목된다.
4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7·23 전당대회 선거인단은 84만3천292명으로 집계됐다. 역대 최대 규모다. 지난해 3·8 전당대회 선거인단(83만9천569명)보다 3천723명 많다. 책임당원은 79만430명, 일반당원은 4만3천422명이다.
지역별로는 영남권이 40%, 수도권은 37%로 나타나 3%포인트(p)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충청권(14.1%), 강원(4.1%), 호남(3.1%), 제주(1.4%) 순으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45.8%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24.7%), 40대(13.5%), 30대(9.7%), 20대(6.4%) 순이었다.
관전 포인트는 단연 영남권의 지지가 누구를 향할지에 쏠린다. 영남권과 수도권의 선거인단 규모가 엇비슷하지만 적극 투표층으로 한정하면 영남권이 더 많을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현재 한동훈 후보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앞서가고 있지만 영남권 표심이 한 후보를 향할지, 아니면 다른 후보로 결집할지 등에 따라 변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지난번 전당대회를 앞두고 대대적인 당원 결집이 일어나 김기현 전 대표가 당선됐다"며 "지금은 한 후보가 여론조사 1위를 기록하고 있지만 당정 간 원활한 관계를 선호하는 영남 지역 당원들 성향상 원희룡, 나경원 등 다른 후보를 향해 결집이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다. 수도권에 기반을 둔 국민의힘 관계자는 "한 전 위원장이 공천을 주도한 다수의 인물들이 수도권 원내·외 당협위원장을 맡고 있다"며 "당협에서 책임당원을 움직이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조직을 움직여 대세론을 뒤집기엔 시간도 촉박해 보인다"고 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한 후보가 1위를 할 것이란 데는 대체로 이견이 없다. 다만 결선 없이 끝낼 수 있을지 여부는 미지수"라면서 "영남권이 비한동훈 후보로 결집한 가운데 결선투표가 치러진다면 결과는 예측할 수 없는 국면으로 흐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