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은 9일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처리하고자 독자적으로 개발한 플라즈마 처리설비를 2천83시간(누적) 동안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설비 안정성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플라즈마 처리설비는 번개와 같은 전기아크 현상을 이용해 1천600℃(도) 이상 열을 내는데, 일반 산업계에선 금속 절단, 나노소재 개발 등에 활용하고 있다.
한수원은 이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에 활용하려 지난 1996년부터 설비를 개발해왔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금속과 콘크리트, 토양, 석면 등 방사성폐기물을 용융시켜 부피를 약 5분의 1 이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수원은 4.9톤(t) 가량의 비방사성폐기물을 모의로 제작해 지난 2022년부터 지난달까지 실증시험을 진행했다.
최장 연속운전은 140시간, 총 누적 운전은 2천83시간을 기록했다. 국내 방사성폐기물 처리 분야에서 플라즈마 처리설비가 2천 시간 넘게 운영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한수원 측 설명이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은 "추가적인 검증 작업을 통해 상용화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국내 원전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물론 해외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