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여름철 피서객이 몰리는 해수욕장에 해파리가 빈번하게 출몰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해파리에 따른 인적 피해가 지난 5년간 1만 건 이상 발생했기 때문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고령성주칠곡)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7월) 해파리로 인한 인적 피해는 총 1만228건 발생했다.
제주가 2천220건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 2천76건 ▷경북 1천943건 ▷강원 1천862건 ▷경남 1천566건 ▷울산 351건 ▷충남 115건 ▷전남 80건 ▷전북 15건 순으로 피해가 발생했다. 인천은 0건으로 피해가 없었다. 이 가운데 해수욕장 개장 기간에 해파리 쏘임 사고로 인한 중상자나 사망자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해파리 위기특보는 올해를 포함, 최근 5년간 총 22회가 발령됐다. 위기특보가 가장 많이 발령된 지역은 경남으로 10회였다. 이어서 ▷전남 8회 ▷전북 5회 ▷강원, 경북, 부산, 울산이 각각 4회 ▷제주 3회 ▷충남 1회 순이었다.
올해에는 7월 말 기준 전남, 경남, 전북, 충남, 제주, 경북, 울산, 부산, 강원에 걸쳐 주의특보가 총 6회 발령됐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안에서 해파리가 증가한 원인은 ▷서식처의 증가 ▷풍부한 먹이 ▷포식자의 감소 등으로 분석되고 있다.
정희용 의원은 "민·관이 해역별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해수욕장에 유입 방지막을 설치하는 등 사전 예방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아직 다수의 지자체에서 해수욕장별로 해파리 피해 현황을 집계하지 않고 있다"며 "피해현황을 철저히 파악하고 지금이라도 해수부와 긴밀히 협력해 해파리 출현 시 유기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