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 고분군 통합관리기구 설치 시 면적과 개수 등을 최우선 고려하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고령성주칠곡)은 10일 이러한 취지를 반영한 '세계유산의 보존·관리 및 활용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지난해 9월 가야 고분군이 세계유산에 등재돼 우리나라는 총 16개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당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가야 고분군 통합관리기구 설치를 권고했다.
이와 관련, 정 의원은 통합관리기구 설치 입지 선정은 고분군 면적과 개수를 최우선 순위로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이에 개정안은 국가유산청장 인가를 받은 법인인 세계유산 통합관리원의 주사무소가 세계유산의 면적, 개수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도록 했다.
개정안에 따라 설립될 통합관리원은 ▷세계유산 보존·관리 및 활용 ▷세계유산의 홍보 계획 수립·시행 ▷세계유산의 보존·관리 및 활용 등을 위한 연구개발 ▷세계유산 관련 국제교류 및 협력 체계 구축 등 업무를 수행한다.
정희용 의원은 "7개 가야 고분군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통합관리기구 설치를 통해 가야 고분군에 대한 연속성과 역사적 문화 가치, 보존성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개정안이 통합관리기구 설치의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마중물로서 역할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위기의 건설업, 올해 들어 2천569개 건설사 사업 포기
'김현지 국감 출석' 여야 공방…"진실 밝혀야" vs "발목잡기"
한국 첫 투자처로 포항 선택한 OpenAI, 뒤에 포스코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