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표면 탐사 능력을 갖춘 '달 착륙선'이 우리 기술로 개발된다. 총 5천300억원을 투입해 오는 2032년 쏘아 올리겠다는 목표로,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한국의 우주 탐사 역량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주항공청은 이달 30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 사업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이는 2032년 달 착륙을 목표로 달에 보낼 착륙선을 독자 개발하기 위해 10년간 진행되는 사업으로 약 5천300억원이 투입된다. 달 표면 연착륙 실증, 과학기술 임무수행 등을 통해 독자적 달 표면 탐사 능력을 확보하는 게 목표다.
달 착륙 임무에 필요한 탑재체는 과학기술 수요에 기반한 기획연구를 통해 선정되며 착륙지와 함께 결정된다.
한편 달 탐사 1단계 사업에선 국내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가 개발됐다. 다누리는 2022년 발사를 통해 성공적으로 임무에 투입됐다. 임무 기간도 2년 연장돼 다누리는 내년 12월까지 과학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류동영 우주청 달착륙선프로그램장은 "달 착륙선 개발 사업을 통해 우주 탐사에 필수적인 달 착륙 및 표면 탐사 기술을 확보하고, 미래 달 기반 우주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 이진숙 21.2% VS 김부겸 15.6%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
"조용히해! 너한텐 해도 돼!" 박지원 반말에 법사위 '아수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