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는 생포된 북한군 2명 공개를 계기로 국제사회 여론전을 적극 펼치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북한군 사진을 공개하면서 "세계가 진실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이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언급하는 등 불리하게 돌아가는 국면을 북한 포로 공개를 통해 반전을 꾀하겠다는 의도도 보인다.
우크라이나 매체 키이우포스트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은 텔레그램을 통해 북한군 사진뿐만 아니라 생포 장면으로 보이는 작전 영상도 공개했다.
드론이 촬영한 이 영상에는 우거진 숲에서 군복을 입은 5명이 누군가를 들것에 옮긴 뒤 이동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영상에는 비장한 분위기의 배경음악도 깔렸다.
우크라이나는 이번 북한군 생포를 우크라이나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 필요성을 부각하는 계기로 삼으려는 듯한 모습이다.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은 이번 생포는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을 입증하는 명백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9일 독일 람슈타인 미 공군기지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방위연락그룹(UDCG) 회의에서 북한군 파병 현황과 사상자 규모 등을 설명하며 서방 지원국들의 파병을 요청한 바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전쟁 포로를 언론에 적극 공개하는 것이 제네바 협약 위반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이 협약의 관련 규정을 들어 "이 개념은 때때로 포로를 공공에 드러내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짚었다.
전쟁포로의 처우에 관한 제네바 협약 제13조는 '전쟁 포로는 항상 보호돼야 하며, 특히 폭력이나 위협 행위, 모욕 및 공공의 호기심으로부터 보호돼야 한다'고 규정한다.
댓글 많은 뉴스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