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혜종고(1089~1163)는 송나라 시대 스님으로 화두(話頭)를 참구(參究)하는 수행법인 간화선(看話禪)을 주창했다. 고관대작을 지내다 벼슬에서 물러난 선비들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간화선의 가르침을 자상하게 베풀었다.
'화엄경(華嚴經)' 십신법문(十信法門)에는 수행의 순서를 신(信)·해(解)·행(行)·증(證)으로 설명하고 있다. 신(信)은 부처님의 법을 철저하게 믿는 것이며, 해(解)는 그 법의 의미를 잘 이해하는 것이다. 행(行)은 바르게 수행 정진하는 것이며, 증(證)은 깨달음을 이루는 것이다. 이들의 관계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믿음이 공고할 때 지혜의 공덕이 있으며, 지혜의 공덕은 곧 정진과 깨달음의 원동력이 된다.
이 책은 선공부의 시작·선공부의 이해·선공부의 실천·선공부와 깨달음이라는 큰 틀을 기반으로 스님의 서신을 편집해 서장을 구성했다. 또한 각종 불교 경전과 체험, 부처님의 말씀, 선사들의 죽비 소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등 편지 내용을 소주제별로 재구성해 선가는 물론 일반 수행자들이 간화선의 진수에 접근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저자 수행경전연구회는 위덕대학교에서 불교학을 전공하는 학자들의 모임이다. 앞서 불교수행경전 두 편을 출간했으며, 이번 책은 시리즈의 세 번째에 해당한다. 288쪽. 1만7천원
댓글 많은 뉴스
金총리, 李냉부해 출연에 "대통령 1인다역 필연적…시비 안타까워"
배현진 "'이재명 피자'→'피의자'로 잘못 읽어…내로남불에 소름"
나경원 "경기지사 불출마", 김병주 "정치 무뢰배, 빠루로 흰 못뽑아내듯…"저격
'이재명 피자' 맛본 李대통령 부부…"이게 왜 맛있지?" "독자상품으로 만들어야"
내가 영포티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법 [가스인라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