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10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악취 발생 지역에 우선적으로 하수관로 준설 작업을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지난 2020년 생활악취 저감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악취배출시설 외 하천·하수관로 등 공공수역과 민원 다발 지역에 대해 생활악취 실태조사를 해왔다.
부산의 생활악취 민원은 최근 3년간 매년 1천200~1천300건 수준으로, 하수구 악취가 악취 민원의 22.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조사 분석 결과 합류식 하수관로에서 민원이 주로 발생했고, 시는 그 원인을 하수관로 퇴적물의 부패로 분석했다.
이에 시는 악취가 심각한 지역을 대상으로 10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우선적으로 하수관로 준설 작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이달부터 두 달간 광안역, 서면, 해운대 해수욕장, 해리단길 등 8개 지역에서 하수관로를 준설한다. 기존에는 침수지역을 우선으로 하수관로 준설을 진행했으나, 이번에는 악취 발생 지역도 준설 대상지에 포함해 악취를 근절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다음달부터 오는 5월까지 합류식 하수관로 350곳을 대상으로 악취 전수조사를 실시해 악취 농도가 높은 지역을 정확하게 파악한 뒤 악취지도를 작성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시는 올해 총 1천93억원을 투입해 56㎞ 규모의 분류식 하수관로를 설치한다.
분류식 하수관로는 하수와 우수를 분리해 악취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시설이다. 시는 1990년부터 2040년까지 3천615㎞ 규모의 분류식 하수관로를 설치하는 대규모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으며, 악취 민원 발생 지역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시행 중이다. 올해는 송도해수욕장, 광안리해수욕장, 송정해수욕장 등을 대상으로 이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악취 없는 깨끗하고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해 시민들에게는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도시', 방문객들에게는 '다시 찾고 싶은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