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의 '탄핵 난사'와 관련한 헌법재판소의 선고가 줄줄이 이어지고 있지만 정작 '국정 최고책임자'이던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 선고는 기약이 없어 비판의 목소리가 인다. 여당은 더 이상의 국정 혼란을 막기 위해서라도 헌재가 한 총리 사건 선고를 서두를 것을 촉구하고 있다.
헌재는 13일 최재해 감사원장,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등 검사 3명의 탄핵심판의 결론을 발표한다. 이들의 국회 탄핵소추안은 대통령보다 9일 빠른 지난해 12월 5일 헌재에 접수됐다.
사건의 중대성을 고려해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 주력하던 헌재가 정작 이들의 선고를 먼저 하는 등 '오락가락', '새치기' 처리 순서로 국정안정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한 총리 탄핵 사건 심리에 대해서는 특히 성토의 목소리가 높다.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이던 한 총리 탄핵안의 의결정족수를 대통령(200석)과 국무총리(151석) 중 어느 기준으로 할지만 확정해도 사건 결론이 나올 수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27일 탄핵된 한 총리 사건은 지난달 19일에야 첫 변론기일이 잡혔다. 이날 변론이 바로 종결됐으나, 헌재는 아직 선고기일을 발표하지 않고 있다.
한 총리 사건의 변론 종결이 이 중앙지검장, 윤석열 대통령 사건보다 각각 5일, 6일 먼저 이뤄진 점을 감안하더라도 선고가 늦어지는 것을 납득하기 힘들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 한 달 보름이 넘도록 통화 한번 하지 못한 상태다. 급격한 대외환경 변화 속 국정 안정 및 원활한 외교활동을 위해서라도 한 총리가 속히 복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대식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12일 "한 총리 탄핵심판은 단 한 차례, 그것도 90분 만에 변론이 종결될 정도로 쟁점이 단순하다"면서 "헌재가 정치적 고려로 결정을 지연시키는 것이 아니냐는 국민적 의구심을 키우는 행태"라며 헌재를 비판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아울러 "윤 대통령과 한 총리의 탄핵 선고가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진다면, 탄핵심판의 결과와 무관하게 국정 전반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행정부가 대혼란에 빠질 것"이라며 "더 이상의 국민적 의구심을 불러일으키지 말고, 한 총리 탄핵심판에 대한 결정부터 신속히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쓰레기"라 한 친구는 '조국 수호대'
'이재명 무죄' 선고한 최은정·이예슬·정재오 판사는 누구?
민주당, 韓 복귀 하루만에 재탄핵?…"마은혁 임명 안하면 파면"
'나 홀로 인용' 정계선 집 주소 확산…유튜버들 몰려가 시위
[속보]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2심 "무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