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서 근무하는 흉부외과 등 심혈관질환 전문의 고령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전문의 비율과 격차도 두드러졌다.
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지역보건의료진단 기초연구: 의료자원의 격차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 행정구역을 도시·도농복합·농촌 등 시도별 유형에 따라 33개 지역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이런 상황이 확인됐다.
심혈관질환 전문의의 60세 이상 비중은 전국평균 19.1%다. 서울은 16.9%였으나 강원 도시는 100%였다. 강원도 내 도시로 분류되는 동해시·태백시·속초시에 있는 심혈관질환 전문의 모두가 60세 이상이라는 의미다. 경북 농촌의 심혈관질환 전문의는 60세 이상 비중이 57.2%로 강원 도시 다음으로 높았다.
인구 10만명당 심혈관질환 전문의 수는 전국평균 3.9명으로 집계됐다. 서울과 전남 도시가 각각 6.1명으로 많은 편이었다. 반면 경남 농촌이 0.4명, 강원 도시가 0.5명 순으로 낮았다. 지역 33곳 중 19곳은 전국 평균보다 적었고, 대구 농촌은 심혈관질환 전문의가 아예 없었다.
신경과나 신경외과와 같은 뇌혈관질환 전문의 상황도 비슷했다. 뇌혈관질환 전문의 60세 이상 비중은 전국평균 14.8%, 서울 14.1%였지만 강원 도시에서는 64.2%에 달했다. 인천 농촌도 60.0% 수준으로 높았다.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60세 이상 비중은 강원 도시가 82.1%로 최대였고, 세종 도시가 9.2%로 최소였다. 전국 평균은 17.0%, 서울은 15.5%다.
연구진은 "도시와 비도시권 지역 유형 간 전문의 수와 연령에서 격차가 두드러졌다"며 "도시보다 농촌 지역일수록 기준 인구당 전문의 수는 부족하고, 60세 이상 고령 전문의 비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