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미국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보다는 소폭 떨어지면서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는 우선 한숨돌렸다.
지난달 초 미국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처음 공개한 물가 지표지만 미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 전쟁'에 따른 직접적 영향이 아직까지는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90일 관세 유예 이후의 협상 결과가 좋지 않다면 올해 여름부터는 수입품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우려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 노동부는 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했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3월(2.4%)보다 상승 폭이 둔화한 데다 2021년 2월(1.7%)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4%)도 밑돌았다.
전월과 비교해선 0.2% 상승해 전망에 부합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2.8%, 전월 대비 0.2% 각각 상승했다.
근원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전망에 부합했으나, 전월 대비 상승은 전망(0.3%)을 밑돌았다.
CPI 상승률 둔화에는 에너지 가격 하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지난달 에너지 가격은 1년 전과 비교해 3.7% 떨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위협에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국제유가가 하락한 데 따른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李 장남 결혼, 비공개라며 계좌는 왜?…위선·기만"
이 대통령 지지율 58.6%…부정 평가 34.2%
李대통령, 대북전단 살포 예방·사후처벌 대책 지시
대통령실 "국민추천제, 7만4천건 접수"…장·차관 추천 오늘 마감
김기현 "'문재인의 남자' 탁현민, 국회직 임명 철회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