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섬유개발연구원(이하 섬개연)은 지난 14일 서구 중리동 대구 본원 국제회의장에서 '미래형 자원순환의 기술혁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지속 가능한 섬유산업으로 전환을 위한 리사이클 기술과 디지털 전략을 주제로 열렸다.
김천기 효성기술원 부장은 이번 세미나에서 염색·가공 처리된 폐합성 섬유를 다시 섬유로 탄생시키는 '파이버 투 파이버(Fiber to Fiber, F2F) 리사이클 기술'을, 김성기 SK케미칼 상무는 폐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분해해 고순도 원료로 전환하는 해중합 기술을 각각 소개했다.
이어 김유겸 스탠다드앤서스테이너빌리티(Standard & Sustainability) 대표는 유럽연합에서 도입 중인 '디지털 제품 여권(DPP)' 제도와 섬유산업 적용 가능성을 발표했다. DPP는 생산부터 소비, 폐기까지 전 주기 데이터를 투명하게 추적하는 시스템으로, 확대 적용 시 섬유업계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하고 글로벌 거래 대응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모았다.
섬개연은 기술 혁신과 산업 생태계 전환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기업·기관과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지원을 지속할 예정이다. 김성만 원장은 "섬유산업의 구조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기술과 시스템 혁신을 통해 친환경 순환섬유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TK지지율 김문수 53.1% 이재명 30.9% 이준석 7.0%
이재명 당선 뒤 유죄면 직무정지? 헌법학자 10인 대답은
"이준석 싫어요" 67%…비호감 대선후보 1위
김문수 "尹계엄권 발동 부적절…진심으로 사과"
"박정희 각하께 여쭈니 '이번엔 이재명'이라 해"…'보수' 권오을 지지연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