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문예광장] (동시) 물수제비 / 김성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시인 김성민

강가에 선

아버지가

수많은 돌멩이 가운데

적당히 묵직하고

둥글고 납작한 돌멩이 하나 골라

내 손에 쥐여 주었다

이깟 강 하나쯤 너끈히 건너갈 것 같은

돌멩이였다

◆시작(詩作)메모

금호강이 흐르는 저희 동네 화담길에는 긴 의자가 셋 나란히 놓여 있는 데가 있어 멍하니 앉아 있기에 맞춤하지요. 해 질 녘이면 수면 위로 뛰어 오르는 물고기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고, 빨갛게 물드는 노을을 한참 바라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그러다 심심해지면 강가로 내려가 힘껏 물수제비를 떠보기도 합니다.

어머니 먼저 하늘나라로 보내시고, 혼자 남은 아버지를 뵈러 간 날이었습니다. 그날 아버지는 바깥에 나와 서 계셨는데, 멀리서 뵌 아버지가 나무처럼 흔들리고 있었습니다. 바람 부는 언덕에 홀로 서 있는 나무 같았습니다. 가까이 다가가 보니 눈물을 흘리고 계셨습니다.

동시를 쓰면서 아버지를 자주 만납니다. 무뚝뚝했던…, 소파에 앉아 같이 TV를 보면서 괜히 제 발을 지그시 밟고 계셨던 아버지. 물수제비 뜨는 걸 아버지한테 배웠을 겁니다. '퐁당' 처음엔 애가 탔겠지요. 제가 던진 돌멩이는 강물 속으로 곧장 빠져버렸을 테니까요.

지금도 소 울음소리가 길게 들려오는 것만 같은 긴 의자에 앉아 있으면 어느 틈에 아버지가 옆에 슬쩍 와 앉는 것 같습니다. 물수제비를 뜰 때 저는 아버지이기도 하고, 어린 아들이기도 합니다. 아버지는 적당한 돌멩이를 골라 쥐여 주면서 멋지게 강 건너기를 바라시지요. 하지만 번번이 실패로 돌아갑니다. 저는 '에이, 시시해' 하면서 부러 외면하고 말지만, 어느 날 또 강을 앞에 두고 서게 되면 몇 번이고 다시 물수제비를 뜰 겁니다. 이깟 강 하나쯤 너끈히 건너갈 것 같지만, 힘이나 요령이 없어 눈앞에서 '퐁당'하고 빠지면 또 어떻습니까?

오늘은 강가에 나가 물수제비 한 번 더 떠봐야겠습니다.

시인 김성민

◆약력

-2011년 '대구문학', 2012년 '창비어린이'로 등단

-'브이를 찾습니다', '고향에 계신 낙타께', '괄호 열고 괄호 닫고' 등 출간

-권정생문학상, 천상병동심문학상, 동시마중작품상 수상문

mWiz
1800
AI 뉴스브리핑
정치 경제 사회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내란 방조 혐의로 징역 15년을 구형받자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그를 비판하자 '이제와서 할 소리...
정부와 여당이 주식시장 세제를 강화하겠다는 발언을 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금투세 도입에 긍정적인 여당 의원들이 증가하고,...
최근 순천의 다이소 매장에서 중년 직원이 젊은 여성 손님에게 무릎을 꿇고 사과하는 장면이 담긴 영상이 확산되며 갑질 논란이 일고 있다. 한편, ...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