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산불 피해지에 '신재생e 숲' 조성 본격화

풍력·태양광 집적화 단지로 산림복원·지역소득 창출…"방화선 역할도 기대"

22일 경북도는 동부청사에서
22일 경북도는 동부청사에서 '신재생e 숲' 조성 관계기관 간담회를 가졌다. 경북도 제공

경상북도가 산불 피해를 입은 5개 시군(안동, 의성, 영양, 청송, 영덕)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기반의 '신재생e 숲' 조성에 본격 착수한다.

23일 경북도에 따르면 전날 동부청사에서 산불 피해 극복과 지역 재건을 위한 산림재창조 프로젝트의 하나로 추진되는 '신재생e 숲' 조성 관계기관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는 안동시 등 5개 시군, 경상북도개발공사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부서와 기관이 참여해 ▷풍력사업 기초자료 공유 ▷생태자연도 등급 현황 분석 ▷유휴부지 활용 방안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시설 설치 계획 등을 논의했다.

'신재생e 숲 조성 사업'은 산불 피해 지역을 중심으로 풍력과 태양광 등 공공주도형 신재생에너지 단지를 집적화 방식으로 조성하면서, 주민참여형 모델을 도입해 지역민에게 소득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추진된다.

아울러, 조성된 발전단지를 관광자원화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목표다.

특히 이 자리에서는 산불 예방 인프라로서 풍력단지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고지대에 설치된 CCTV와 드론, 열화상카메라 등의 감시시스템이 조기 경보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또 풍력단지 내 조성된 진입로 등은 소방장비와 인력의 신속한 접근을 가능케 해 초기 진화에 도움이 되고, 저수조와 취수장 등 소방용수 공급시설도 방화선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참석자들은 이러한 사례를 바탕으로 풍력단지의 안전망 기능 확대와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정책 개선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경북도는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조성계획 수립과 예산 확보에 나설 예정이다. 향후 단계별 추진 방안에 대한 지역 의견도 지속 수렴할 방침이다.

홍석표 경북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산불로 신음하는 지역에 '신재생e 숲'을 조성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산림과 경제를 함께 복원할 것"이라며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재건과 성장의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