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여파가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 인하로 이어지며 수신상품 전반의 금리 수준이 다시 한번 낮아지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들은 한국은행이 지난달 29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한 직후 예·적금 상품 금리를 일제히 조정했다.
SC제일은행은 2일부터 거치식 예금 5종의 금리를 최대 0.20%p 낮췄다. 이에 따라 대표 상품인 퍼스트정기예금 1년 만기 금리는 연 2.15%에서 2.05%로 조정됐고, 온라인 전용 상품인 e-그린세이브예금 12개월 만기 금리도 연 2.60%에서 2.50%로 인하됐다.
NH농협은행도 같은 날부터 예금 금리를 내렸다. 거치식 예금과 적립식 예금은 각각 0.25∼0.30%p 인하됐으며, 청약 예금과 재형저축 상품 역시 0.25%p 낮은 금리가 적용됐다.
인터넷은행 3사도 예외는 아니었다. 토스뱅크는 기준금리 인하 직후인 지난달 30일부터 예금과 적금의 기본금리를 최대 0.30%p 내렸다. 대표 입출금 상품인 토스뱅크 통장과 이자 받는 저금통, 모임 금고 등은 연 1.80%에서 1.60%로 금리가 일제히 낮아졌다. 적립식 예금 상품인 자유적금과 아이적금의 경우 12개월 만기 기준으로 금리가 2.80%에서 2.50%로 조정됐다.
케이뱅크도 같은 날 플러스박스와 코드K정기예금 금리를 각각 최대 0.10%p 내렸다. 파킹통장 형태의 플러스박스는 예치금 5천만원 이하 기준 연 1.90%, 5천만원 초과는 연 2.40%의 금리가 적용되며, 이전보다 0.10%p씩 낮아졌다. 코드K정기예금은 6개월 만기가 연 2.70%에서 2.60%로, 12개월 만기는 연 2.80%에서 2.75%로 인하됐다.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31일부터 예금 금리를 내렸다. 입출금과 파킹통장 기능을 겸비한 세이프박스, 모으기 설정이 가능한 기록통장, 개인사업자 전용 입출금 상품인 부가세박스 등 3종 수신상품의 기본금리가 연 1.80%에서 1.60%로 하향 조정됐다.
금리 조정의 흐름은 대형 시중은행의 공시에서도 확인된다.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따르면 2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최고 금리는 연 2.55∼2.85%로 집계됐다. 이는 약 한 달 전인 지난달 4일(연 2.58∼3.10%)과 비교해 금리 수준이 전반적으로 하락한 결과다.
한편, 한은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 금리는 연 2.71%로, 전월(2.84%) 대비 0.13%p 하락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