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직주근접 특성 인구 유출 줄이려면 일자리가 가장 시급"

2일 대구 도심 상공에서 바라본 서구 주택가.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2일 대구 도심 상공에서 바라본 서구 주택가.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 인구구조가 교통과 의료 등 주요 인프라와 일자리에 따라 빠르게 재편된 만큼 주요 인구유출 요인인 일자리와 인프라 대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인구의 주요 유출 원인으로 일자리를 꼽았다.

이승철 대구대 행정학과 교수는 "인구 유출은 눈덩이가 굴러가듯 점점 더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보니, 가장 주요한 유출 원인으로 추정되는 일자리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며 "재정 자립도가 50%도 되지 않는 기초 지자체 단위에서 일자리 대책을 세우긴 어렵다. 정부나 광역 단위의 사업과 손을 잡고, 메디컬 등 특화 산업을 키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자리의 질적 측면과는 별개로 대구의 경우 달성군이나 군위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직장과 주거단지 간 이동시간이 길지 않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면이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박은희 대구정책연구원 인구복지전략랩 단장은 "대구에 대기업이 없어 청년들이 좋아하는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사실이지만 교육이나 문화, 의료 등 기반시설 확충도 중요한 요소"라며 "대구의 경우 어디서나 도심 접근이 쉬운 교통을 갖고 있고 베드타운도 도심 안에 밀집한 형태다. 직주근접 환경을 갖추기에 좋은 형태"라고 말했다.

대구 내 인구 이동이 아니라 지역 밖으로의 인구 유출에 초점을 맞추고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태운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교수는 "지역 내 인구이동은 일자리보다 교육과 교통 영향이 크고, 지역 외 유출에는 일자리가 큰 영향을 준다. 서울에서 좋은 일자리를 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팽배한 상황에서 인구는 수도권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며 "좋은 일자리를 민간과 정책이 함께 만들어내고 서울에 대한 막연한 동경 대신 대구에서 삶의 만족도가 높고 비용도 적게 든다는 식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