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럽의 안보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영국, 프랑스, 독일이 미국 없는 새로운 3각 협력 구도를 만들고 있다. 이들 3국은 경제 협력, 안보 보장 등 수십년간 미국과 동맹 관계를 지속해왔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에서 발을 빼려는 모습을 보이자 자체 경제·안보 협력이 필요했던 것이다.
18일(이하 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영국, 프랑스, 독일 3국의 지도자들이 상호 협력 강화를 통해 '미국 없는 미래'에 대비하고 있다.
3국 지도자들은 지난 5월 러시아 전승절(제2차 세계대전 승리 기념일) 80주년 다음날 폴란드 총리와 함께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것을 비롯해 올해 꾸준히 대면 교류를 하며 양자 협력 제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먼저 핵 보유국인 영국과 프랑스의 안보 협력이다. 영국의 키어 스타머 총리는 지난 9일 영국을 국빈 방문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핵전력 사용 조율에 합의했다. 두 국가가 정치 분야 협력을 가장 최상의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영국과 독일의 군사 협력도 주목된다. 스타머 총리는 17일 취임 후 처음으로 영국을 찾은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와 만나 '켄싱턴 협정'을 체결했다. 켄싱턴 협정에는 장거리 공격용 무기 공동 개발은 물론 침공 시 상호 지원을 한다는 내용까지 담겼다. 2차 세계대전에서 적으로 싸웠던 영국과 독일이 이런 협정을 체결한 것은 전쟁 이후 처음이다.
마크롱 대통령은 내주 베를린을 방문해 메르츠 총리를 만나서 안보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3국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주요 7개국(G7)을 통해서도 그동안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그런데도 3국이 별개의 양자 협정을 맺은 것은 나토, G7을 보완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나토가 32개국을 거느린 거대한 국방 관료 조직이 된 상황에서 영국, 프랑스, 독일 정부 관계자들이 유럽과 미국 간 관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더 작고 민첩한 조직을 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스타머 총리도 지난 17일 켄싱턴 조약 발표 기자회견에서 "유럽의 안보 구조와 대서양 양안 국가들의 관계는 오랫동안 보지 못한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다"며 독일과의 관계 강화는 미국과의 연결 고리가 약화한 것에 기인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영국의 독일, 프랑스 사이의 협정 체결은 지난 2월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유럽 전역에서 언론의 자유가 후퇴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외교적 충격파를 던지고, 트럼프 대통령이 나토 모든 회원국을 방어하겠다는 나토 제5조 이행 여부에 확답을 피한 것에 따른 결과라고 NYT는 분석했다.
이같은 3국 협력이 결국 미국에 손해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미국독일협의회 스티븐 E. 스콜 회장은 3국 간 협력을 환영한다면서도 "장래에 그것(3국 협력)이 미국에 이로운 일이 될지 궁금하다"고 우려를 표했다.
댓글 많은 뉴스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전한길 "尹지지 후보 없으면 내가 당대표 출마"…입당후 논란 계속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
李 대통령 굳건한 지지율 이유 1위는 '경제·민생'…국힘은 19%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