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진짜 대한민국' 실현 위해 국토균형발전·청년정책 본격화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상북도는 새 정부의 '진짜 대한민국' 실현에 발맞춘 선도 전략을 통해 국토 균형발전과 지역·인재·산업의 동반 성장 전략을 적극 모색한다고 27일 밝혔다.

경북도는 대구경북(TK) 초광역권 발전계획을 비롯해 해안·내륙 연계협력 프로젝트, 중부내륙 발전종합계획 등을 통해 광역시·도 간 교류 협력사업을 발굴·추진하고 있다. 5극3특 중심의 새정부의 국토균형발전 전략에 맞춰 도는 포항·구미·상주·안동 등 총 4개 지역 중심 기회발전특구 육성과 정부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등에 발빠르게 대응할 계획이다.

또 올해 총 80개 사업, 1천495억원 규모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통해 ▷이웃사촌마을 ▷지역활력타운 ▷거점형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소규모 마을 활성화 등 열악한 지방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각종 정책을 추진한다. 지난해에도 전국에서 가장 많은 지방소멸기금(1천640억원)을 들여 각 시·군과 함께 각종 사업들을 추진해 왔다.

올해부터 5년 간 도내 32개 대학이 참여하는 '경북형 RISE' 사업은 인재 유치, 지역과 대학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청년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도는 올해 새 정부의 공약인 청년미래적금 정책을 통해 중소기업 취업 청년의 소득격차 해소와 지역 정착을 적극 지원한다. 또 청년활동 인프라 분야에 62억원을 들여 청년 공간을 조성, 정주와 창업 등을 한번에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부의 인공지능(AI) 해외인재 유치 및 외국인 계절 확대 근로 확대 정책 등에도 발맞춰 K드림 외국인지원센터, 해외인재유치센터를 적극 활용한다. 또 한류문화전문대학원 설립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이끌 정주형 고급 인재 육성 계획도 추진 중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방분권 실현을 위한 다양한 시범 정책을 저극 추진해 새 정부의 지방우선 정책 방향에 대응하겠다"며 "지역에서 출발해서, 지역이 중심이 되는 국가발전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