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의 해양레저 관광 사업에 초대형 잭팟이 터졌다. 정부가 1조원을 지원하는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 공모사업에 포항시가 최종 선정된 것이다. 시는 대한민국 대표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며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29일 포항시에 따르면 이날 해양수산부는 영일만관광특구 일원을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 사업 대상지로 최종 선정했다.
이번 공모는 해양레저·관광 인프라를 갖춘 지역에 신규 민간투자를 유치해 국가 대표 해양관광거점으로 육성하는 초대형 국책사업이다.
포항을 비롯해 경기(시흥), 인천(송도), 충남(보령), 부산(다대포), 경남(통영), 전남(여수), 전북(고창), 강원(양양) 등 총 9개 지자체가 참여했으나 포항과 경남(통영)이 해수부의 엄격한 심사 기준을 통과했다.
사업 선정으로 시는 민간투자사업 1조1천523억원에 정부 및 지자체 재정사업 2천억원을 매칭해 총 1조3천523억 원 규모의 계획안을 제출하고 2034년까지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주요 사업은 북구 환호동 영일대에서 남구 송도동 구도심으로 이어지는 관광 동선을 따라 전개될 전망이다.
재정사업(안)으로는 ▷환호공원 해양 예술 거점 조성 ▷복합마리나 구축 ▷글로벌 해양경관 특화 ▷송도 복합 해양문화관광시설 건립 ▷송도솔숲·포항운하 명소화가 있다. 민간투자사업으로는 ▷해양레저지원센터 ▷대관람차 ▷특급호텔 ▷옛 포항역 복합개발(1·2지구) 등 9개 사업이 연계된다.
시는 이번 공모로 선정된 영일만관광특구를 중심으로 호미반도권에 유치한 골프장·리조트·관광시설 등 4개 민간사업(약 1조3천억원 규모)을 연계해 사업 범위와 효과를 확대할 계획이다.
여기에다 공공과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 구조를 강화해 지역 주도형 프로젝트의 성공 모델을 만들 방침이다. 이를 통해 도시 전역으로 관광 동선을 확장하고 체류형 해양관광도시 전환 기반을 완성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시는 이번 공모 선정으로 지역경제에 미칠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약 2천700억원 규모의 생산유발, 1만6천여 명의 취업유발, 1천100억원대의 부가가치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시에 분석됐다.
뿐만 아니라 사계절 체류형 관광인프라가 구축되면 숙박, 상권, 교통, 해양레저 산업이 연쇄적으로 활성화되며 포항이 고도화된 글로벌 관광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이번 공모 선정과 연계해 ▷첨단해양R&D센터 운영 ▷스마트 해양레포츠 e모빌리티 산업 육성 ▷APEC 크루즈 플로팅호텔 운영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 ▷호미반도 해양관광특구 지정 추진 등 관련 사업의 고도화를 함께 추진해 글로벌 해양레저관광 생태계를 더욱 확장해 나간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공모사업의 선정은 민선 6·7·8기에 걸쳐 전략적으로 유치한 민간투자와 해양레저관광 기반이 만든 값진 성과"라며 "공공과 민간이 함께 실행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포항을 대한민국 대표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가수 영탁, FC바르셀로나 대구경기 시축+축하공연 확정…대구스타디움 뒤흔든다
尹 접견한 신평 "1.7평 독방, 생지옥…정치보복에 美 개입해달라"
李대통령, 8·15 광화문서 '국민 임명식' 진행…尹 부부 제외 전직 대통령들 초대
PK 간 李대통령 "가덕도 걱정 마시라"…TK신공항 '침묵' 서운함 쏟아져
'휴가 반려' 이진숙 "대의에 목숨 걸어본 자만 돌 던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