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능력평가 7위 대형건설사 포스코이앤씨의 앞날에 먹구름이 끼었다. 올해만 다섯 번째 인명사고가 발생하면서 대통령의 강력한 질타와 함께 하반기 수주전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는 현재 총사업비 6천500억원 규모 서울 강남구 개포우성4차 아파트 재건축과 송파구 송파한양2차 재건축,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 2지구 등 서울 핵심 재건축 사업 참여를 검토 중이다.
문제는 연이은 안전사고가 포스코이앤씨의 하반기 수주전에 치명적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전날 오후 1시 34분쯤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경기 광명시 옥길동 광명~서울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제1공구 지하 18m 지점에서 미얀마 국적 30대 남성 근로자 A씨가 양수기 펌프 고장을 점검하던 중 감전으로 추정되는 사고를 당해 의식불명 상태에 빠졌다.
이번 사고는 지난달 28일 경남 함양~울산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60대 노동자가 천공기에 끼여 숨진 사고 이후 불과 일주일도 채 지나지 않아 발생했다. 특히 포스코이앤씨가 전 현장 작업을 일시 중단했다가 안전 점검을 마친 후 작업을 재개한 첫날부터 또다시 인명 사고가 터져 안전관리 시스템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올 들어 포스코이앤씨 시공 현장에서 중대재해 사고는 이번이 다섯 번째다. 1월 경남 김해 아파트 공사장 추락사고를 시작으로 4월 대구 주상복합 건설현장 추락사고와 경기 광명 신안산선 건설현장 붕괴사고, 지난달 함양~울산고속도로 현장 사고에 이어 이번 감전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다. 대부분 추락이나 장비사고로 기본적인 안전수칙이 지켜지지 않아 발생한 사고였다.
건설업계는 이처럼 연이은 안전사고가 포스코이앤씨의 하반기 수주전에 치명적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서울 강남권 대형 프로젝트 수주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크다. 포스코이앤씨는 6월 올 상반기 최대어로 불리던 서울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 수주전에서 현대산업개발에 밀려 고배를 마셨는데 연이은 안전사고가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도 있다.
게다가 포스코그룹이 4일 주요 일간지에 지면 광고를 통해 "안전은 비용이 아닌 투자"라며 "위험의 외주화를 막고 후진적 사고를 없애겠다"고 선언한 터라 이번 중대재해 재발은 대외 이미지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최근 수주 심사에서 안전관리 능력에 대한 평가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특히 강남권 재건축 조합원들은 인명사고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말했다.
공공사업 수주에도 여파가 불가피해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포스코이앤씨 현장에서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잇따른다"며 "똑같은 현장에서 똑같은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이건 사실 고의에 가깝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죽음을 용인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강도 높은 표현을 동원했는가 하면 "징벌적 배상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포스코이앤씨는 현재 한국은행 서울 강남본부 재건축(공사비 4천989억원)과 강원 홍천 양수발전소 건설(6천542억원) 등 주요 국책·공공사업 입찰전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홍천 양수발전소는 이재명 정부에서 추진하는 첫 양수발전 사업으로 향후 전국 11개 후속 사업의 기준점이 될 전망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정권 초반 건설안전 기조를 강조하려는 정부 입장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첫 타깃이 된 셈"이라며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포스코이앤씨에 문제점을 지적했는데 국가 예산이 투입되는 공사 입찰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근본적인 안전관리 체계 개선 없이는 수주 경쟁력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 포스코이앤씨로선 단기 수주보다 장기 신뢰 확보 전략이 우선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인터뷰] 주호영 국회부의장 "절박감·전투력 없는 국힘, 민주당에 못 당해"
국힘 당권주자들, 후보 등록 후 '찬탄'도 '반탄'도 나란히 TK로
한미 관세협상 타결 영향?…李 대통령 국정지지율 63.3%
[매일희평] 두통령
진성준 "주식시장 안무너진다"…'대주주 기준' 재검토 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