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군구 3분의 1은 출산 불모지…연간 분만 '10건 미만'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전국 시군구 가운데 연간 분만 건수가 10건에도 미치지 않는 '출산 불모지'가 전체의 3분의 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지역 인구 감소와 저출생 추세만의 문제가 아니라 거주 지역에 분만 시설이 없는 경우 타 지역에서 아기를 낳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1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 따르면 지난해 병원·의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조산원에서 이뤄진 분만 23만7천484건을 분석한 결과, 251개 시군구 가운데 연간 분만 건수가 10건 미만인 곳이 97곳(38.6%)에 달했다.

심평원은 2019년 진료 청구 이력이 있는 의료기관 소재지별로 분만 데이터를 집계하고 있어 전체 시군구 숫자(251곳)가 행정안전부 행정구역 현황(226곳, 행정시·자치구가 아닌 시·구 포함 시 260곳)과 차이가 있다.

이 중 군 단위 지역에서는 경북 예천군, 울진군 등 8개 군을 제외하고는 모두 분만이 10건 미만이었다. 시 지역도 분만 건수가 10건 미만인 지역이 경북 문경시와 경산시를 포함한 11곳이었다.

분만이 10건 미만인 시군구 비율은 2022년과 2023년에도 각각 37.1%, 36.7%로 작년과 비슷했다.

이처럼 분만 건수가 낮은 곳은 거주하는 지역에 분만이 가능한 산부인과가 없거나 취약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으로 심평원은 분석하고 있다. 실제 분만 건수와 통계청이 집계하는 출생아 수를 비교해보면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경북 영양군, 울릉군의 경우 지난 2023년 분만 건수는 10건 미만이었으나 보다 출생아 수는 30명, 26명으로 출생아 수가 더 많았다.

하지만 출생아 수가 적은 탓에 모든 시군구에 분만 시설을 갖추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윤석준 고려대 의대 교수는 "정부가 오랫동안 분만 취약지 지원 사업을 해왔지만, 분만 건수가 적으면 정부 지원이 있어도 병원을 유지하기 어렵다"며 "응급 이송 체계를 더 활성화하고 배후 지역으로의 연계, 병·의원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안전하게 분만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