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철강산업 위기 대응…정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검토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이 타결된 31일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이 타결된 31일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포항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속히 검토한다. 글로벌 공급과잉과 미국 관세 부과 등 통상이슈로 어려움을 겪는 철강업계에 대한 제도적 지원과 경쟁력 강화 방안도 추진한다.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포항시청에서 경상북도와 포항시,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세아제강·넥스틸·티씨씨강판 등 지역 철강기업 관계자가 참석한 '포항 철강기업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 5일 출범한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의 후속 조치로 마련됐다.

간담회는 글로벌 과잉공급 및 미국 관세 등으로 기업이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바탕으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수출기업 보호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건의하고, 자치단체와 함께 심층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참석 기업은 먼저 제3국 우회덤핑 방지를 위한 법령 개정, 관세 피해 우려 기업 대상 '관세대응 바우처' 신설 등 정부의 정책적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향후에도 철강부문 통상 대응과 국내시장 보호를 강화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탄소저감·에너지 효율화 등 글로벌 공급과잉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정부 측 참석자는 철강산업의 저탄소 전환, 인공지능 전환(AX) 등 산업 고도화 방안을 구체화하겠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철강산업의 위기가 포항 지역경제 전반으로 파급되지 않도록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대를 같이 했다. 지역에 당면한 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고용안정 지원과 지역 협력업체·소상공인 대상 금융 지원도 필요하다는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오승철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포항시와 지역기업의 현재 여건을 감안하여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여부를 신속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윤인대 기재부 차관보도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를 통해 관계부처와 지원수단 등을 검토하여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철강산업 위기가 지역경제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고용안정 지원, 지역 협력업체·소상공인 금융지원 등 맞춤형 대책도 논의됐다. 정부는 앞으로도 기업성장 촉진과 규제·지원제도 개선 과제 발굴을 위해 지역별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이어갈 방침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