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농수산위원회(위원장 신효광)는 2025년 상반기에도 현장 중심의 의정활동을 펼치며 농어업과 농촌의 민생 현안 해결에 주력했다고 18일 밝혔다.
농수산위는 지난 7월 정부의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 보도에 즉각 성명서를 발표하며 "국내 사과 생산의 62%를 차지하는 경북 농가를 벼랑 끝으로 몰아넣는 결정"이라고 강력히 반발했다. 아울러 정부에 자급체계 확립과 국내 과수산업 보호 대책을 촉구했다.
앞서 5월 임시회에서는 '후계농업경영인 자금지원 중단 사태'와 관련해 재발방지 촉구 건의안을 신속히 채택했다. 농수산위는 신청자의 75%가 탈락한 초유의 사태를 두고 "정부가 농업의 미래를 외면했다"고 비판하며 자금 추가 확보와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농수산위는 포항·강릉 해안 관광지와 남해안 농수산 현장을 방문해 아열대화 대응 사례를 점검하는 등 '맞춤형 현장 의정활동'도 이어갔다. 지난봄 발생한 대형 산불과 관련해서는 위원회가 피해 농어민 현장을 찾아 실태를 점검하고, 복구 지원과 예방 대책 마련을 집행부에 강력히 요청하기도 했다.
농수산위는 도민 생활과 밀접한 조례 제정에도 힘썼다.
농업 분야에는 ▷최병준 도의원의 '도농교육교류협력 조례' ▷신효광 위원장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지원 조례' ▷이충원 도의원의 '온실가스 감축 지원 조례' ▷최병근 도의원의 '유실·유기동물 입양 활성 지원 조례' 등이 대표적이다.
해양 수산 분야는 ▷김재준 도의원의 '친환경 어구 사용 촉진 조례' ▷서석영 도의원의 '어선원 삶의 질 향상 지원 조례'가 제정됐다.
신효광 위원장은 "농수산위원회는 도민과 농어민의 목소리를 소홀히 하지 않고, 생존권과 직결된 사안에는 단호히 대응하겠다"며 "경북 농수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민생 의회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윤준병 "조국 사면 이후 사람들 침묵을 '아빠찬스' 동의로 해석하는 건 잘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