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해외에서 들어오는 800달러 이하 소액 소포에 대해 면세 혜택을 폐지하고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세계 각국의 우편 기관이 미국행 소포 발송을 잇따라 중단하고 있다.
유럽 최대 우편배송업체인 독일 DHL은 22일부터 상품이 포함된 미국행 소포와 우편물 접수가 불가능하다고 공지했다. DHL은 미국 당국이 기존과 다른 새로운 절차를 도입했으며, 관세 징수 주체와 방식 등에 대한 세부 정보가 공개되지 않아 불확실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영국 로열메일 역시 동일한 이유로 미국행 소포 배송 업무를 중단했다. 폭스비즈니스는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 등 유럽 주요 국가와 태국, 호주 등도 같은 조치를 취했다고 보도했다. BBC 역시 유럽 다수 국가에서 우편 접수가 중단된 사실을 전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우정사업본부는 25일부터 미국행 항공 소포 접수를, 26일부터는 서류를 제외한 국제 특급 우편(EMS) 접수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민간 특송사 UPS가 운영하는 EMS 프리미엄은 발송이 가능하다.
미국행 접수 중단 첫날인 25일 오전 전국의 우체국은 비교적 한산했지만, 이용객들은 사태 장기화를 우려했다. EMS 프리미엄은 4.5㎏ 이상 중량 물품일 경우 일반 EMS보다 저렴하지만, 저중량 물품에는 10%가량 더 높은 비용이 책정된다.
민간 특송사는 김치 등 식품류나 고가 물품은 취급이 제한돼 발송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K컬처 확산으로 미국 한류 팬에게 과자를 판매하는 '역직구' 업체들도 비용 증가를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정사업본부는 26일부터 다음 달 30일까지 EMS 요금 1만원 할인 행사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의 승인을 받은 관세 대납업체와 연계를 추진해 1~2개월 내 기존과 유사한 품질과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행정명령을 통해 오는 29일 0시 현지 도착분부터 800달러 이하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제도를 폐지하기로 했다. 앞으로는 서류와 편지를 제외한 모든 미국행 우편물이 관세 신고 대상이 되며, 15%의 관세가 부과된다.
미국 정부는 소형 우편물이 불법 마약류나 위조품 반입 경로로 악용됐다는 점을 근거로 이번 조치를 내렸다. 각국 우편기관과 이용객들이 혼란을 겪는 가운데, 정책 시행 이후 국제 물류 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많은 뉴스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金 "단결하면 승리, 분열하면 패배" vs 張 "한 명도 설득 못하며 무슨 용광로?"
트럼프 "韓서 숙청·혁명 일어나는 듯, 같이 사업 못한다"…대통령실 "상황 확인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