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대미(對美) 관세 인상에 따른 자동차부품 업계 위기 대응에 나섰다.
2일 경북도에 따르면 경북테크노파크에서 경제혁신 현장 라운드테이블을 열고, 업계와 함께 단기·중장기 경쟁력 강화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7월 31일 발표된 한미 관세 결과 사실상 무관세(0~2%)였던 FTA 특혜세율이 15%로 상향 조정되면서 이를 대응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도내 자동차부품업체 대표들이 직접 참여해 애로사항을 전달하고, 정책 실행 가능성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경북의 대미 자동차부품 수출 비중은 전체의 19.9%(36억 달러)로 중국(27.6%)에 이어 2위다. 국내 완성차 업계가 미국 현지 생산을 확대하더라도 일정량 이상의 부품을 국내에서 조달해야 하는 구조 속에서 가격 경쟁력 약화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이에 도는 우선 단기 대응으로 약 1천억원 규모 금융지원과 수출 비용 절감 패키지를 마련하고, 고용유지 지원책을 병행하기로 했다. 또 2028년까지 120억원을 투입해 공정 개선과 기술 사업화를 지원하고 기업 유동성 위기와 고용 충격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인도, 동남아, 중동 등 신흥시장 개척을 적극 지원하고, 인공지능·로봇 기반의 첨단 제조생태계 전환을 추진한다. 맞춤형 인력 양성과 수출기업 매칭 지원도 병행해 산업 체질 개선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장기 전략으로는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핵심부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지원과 국비 신규사업 발굴에 집중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자동차 산업 변화 속에서 지역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통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정책을 발굴하고 기업 현장과 상시 소통체계를 강화하겠다"며 "산업 전환의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기업이 긴밀히 협력하자"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무도회장 연상케 한 與 '한복행렬'…'상복'으로 맞선 野
'尹 속옷 버티기' CCTV 결국 봤다…尹측 "공개 망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