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전쟁으로 폐허가 된 가자지구를 10년 이상 신탁통치하며 관광 리조트와 산업 허브 등을 개발하는 방안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논의되고 있다는 보도에 '인종 청소'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가자 재건, 경제 가속화 및 변환 트러스트(Gaza Reconstitution, Economic Acceleration and Transformation Trust·GREAT Trust)', 일명 '그레이트 트러스트'라는 38쪽 분량의 문건을 입수했다며 관련 내용을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그레이트 트러스트'에는 전후 가자지구 관리 계획이 다소 구체적으로 실렸다. 가자지구 신탁통치는 '개혁되고 탈급진화된 팔레스타인 정치체가 이를 대신할 준비가 될 때까지' 다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구나 이 계획은 지난 2월 4일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중동의 리비에라' 구상과 흡사하다.
'그레이트 트러스트'가 실제 미국의 정책을 반영하는지 불확실하다. 그러나 세간의 비판은 가자지구 주민 200만 명 전원을 재건 기간 동안 이주시킨다는 데 방점이 찍힌다. 주민들을 자발적으로 다른 나라로 떠나게 하거나 가자지구 내 제한된 지역, 즉 임시 수용시설에 살도록 한다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인종 청소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은 '집단 학살' 가능성을 강하게 지적하는 전문가들의 비판을 실었다. 스위스 인권단체인 트라이얼 인터내셔널의 필립 그랜트 이사는 이번 계획을 "개발로 광고되는 대량 추방 청사진"이라며 "그 결과는 상상할 수 없는 규모의 국제 범죄의 교과서적 사례가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미국 헌법적 권리 센터(CCR)의 캐서린 갤러거 변호사도 "팔레스타인인들을 가자지구의 집에서 강제로 이주시키려는 계획에 이스라엘, 그리고 트럼프와 함께하는 기업들은 상당한 법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스라엘 일간 하레츠도 "전쟁 범죄와 인공지능(AI), 관광업에 의존하는 트럼프의 빨리 부자 되기 책략"이라고 비판하는 칼럼을 실었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무도회장 연상케 한 與 '한복행렬'…'상복'으로 맞선 野
'尹 속옷 버티기' CCTV 결국 봤다…尹측 "공개 망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