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이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이하 한-호 경협위)에 참석해 양국의 협력 방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17일 포스코에 따르면 이날 한국과 호주의 경제협력의 상징이자 양국 산업교류를 견인해온 한-호 경협위의 제46차 합동회의가 열린 서울 FKI타워에서 장 회장은 한국측 위원장 자격으로 합동회의에 참석했다.
합동회의에는 호-한 경협위 마틴 퍼거슨 위원장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박종원 통상차관보, 제프 로빈슨 주한호주대사 등 양국 정·재계 인사 약 200여명이 함께 했다.
이날 회의는 '한-호주의 산업·혁신·지속가능성 강화 방안'을 주제로, 핵심광물 공급망·청정에너지·인공지능(AI) 혁신·산업안전·재난대응 등 5개 분야의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올해는 처음으로 'AI 기반의 산업안전 및 재난대응'을 특별의제로 상정해 새로운 협력 모델을 모색하는 등 양국 협력 분야의 외연을 더 확장했다.
포스코그룹은 회의에서 재난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신규 사회공헌사업 계획을 소개했다.
전국재해구호협회와 함께 자연재해 발생시 지역 주민들이 신속·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재난 상황 모의훈련, 대피시설 개선, 소방장비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할 뜻을 밝혔는데, 그 배경에 대형 산불 극복 경험이 있는 호주 뉴사우스 웨일스주의 선진 재난 대응체계 및 축적된 노하우가 접목됐다고 강조했다.
또 호주 리튬 광석 원료를 국내로 들여와 2차전지 소재용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과 포스코그룹의 첫 해외 자원전문 연구소인 '호주핵심자원연구소' 활동 등 양국의 성공적인 협업 사례를 공유했다.
장 회장은 "양국이 경제산업 투자 확대를 넘어 지역상생과 산업안전, 재난 대응까지 핵심 협력 분야의 외연을 넓히고 연대를 강화해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해법을 함께 모색하길 기대한다"고 했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1970년대 초 철광석 구매를 시작으로 리튬 등 핵심광물 공급망의 중요한 파트너 국가인 호주와 자원개발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포스코는 매년 총 원료 구매량의 70%이상인 약 70억 달러 이상의 철강 원료를 호주에서 구매하고 있다. 최근에는 안정적인 철강원료 조달을 위해 호주 로이힐 철광석 광산개발에 참여한데 이어 탄소저감 철강 원료인 HBI를 생산하기 위한 프로젝트도 추진 중에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