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 간 대형차 등록대수가 57% 급증하자 넓은 주차장 등 '주차 특화 설계' 단지가 주목받고 있다.
17일 리얼하우스가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자료를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기준 대형차 등록 대수는 669만대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15년(427만대) 대비 242만 대(57%)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중형차는 961만대에서 1천292만대, 소형차는 69만대에서 21만대로 확줄었다.
중형차도 같은 기간 961만대에서 1292만대로 늘어나며 차량의 대형화 흐름을 뒷받침했다. 반면 소형차는 69만대에서 21만대로 급감했다.
또 차량 자체 보유량의 증가도 또 하나의 주차 수요 압박 요인이다. 올해 8월 기준 전국 등록차량은 2천643만대, 가구수는 2천426만가구로 가구당 1.09대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2023년 기준 전국 아파트의 가구당 평균 주차 가능 대수가 0.95대에 불과했다.
차량 대형화와 보유율 상승 등으로 주차 수요는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신규 입주 단지 가구당 주차 가능 대수를 살펴보면 1995년 0.77대에서 2025년 1.32대까지 늘었다. 30년 만에 71.4%(0.56대)가량 늘어난 셈이다.
이에 건설사들은 주차 면수는 물론 주차 공간을 넓게 만들기 위해 '주차 특화 단지'를 선보이고 있다. 두산건설의 인천 미추홀구 '두산위브 더센트럴 도화'는 폭 2.6m, 길이 5.2m 규모의 주차면을 선보인다. 지난해 분양한 서울 송파구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도 층고 5.3m, 천장고 3.3m를 확보하고, 주차면 절반을 광복 주차장으로 구성했다.
또 대구 수성구 범어동의 '대구 범어2차 아이파크'도 가구 당 1.86대 1의 주차대수를 선보였다. 특히 대부분 광복 평면 주차장으로 설계했다. 이 단지는 1순위 청약 당시 평균 75.2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리얼하우스 관계자는 "최근에는 단순한 주차 면수 확보를 넘어, 생활 편의성을 높이는 특화 설계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