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의 경력직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21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121개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하반기 주요 대기업 대졸 신규채용 계획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대졸 신입직원 28.1%는 이미 경력이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조사에서 집계된 중고 신입 비중(25.8%)보다 2.3%포인트(p) 상승한 수준이다. 중고 신입의 평균 경력 기간은 '1∼2년'(46.5%)이 가장 많았고 '6개월∼1년'(38.6%), '2∼3년'(7.9%), '3년 이상'(5.3%), '6개월 미만'(1.7%) 순이었다.
기업 매출액 순위가 낮을수록 '2∼3년' 경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00대 기업'과 '101∼200대 기업'에서는 '2∼3년' 응답이 0%인 데 반해 '300∼500대 기업'에서는 12.2%를 기록했다.
올해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 인원에서 경력직 채용 비율은 평균 26.9%로 조사됐다. 경력직 채용 비중은 '50% 이상'(15.7%), '20∼30%'(14.1%), '0∼10%'(13.2%), '40∼50%'(12.4%) 등 순으로 컸다. 경력직 채용 계획이 없는 기업은 22.3%였다.
재계 관계자는 "경영 여건이 어렵다 보니까 기업이 채용을 보수적으로 실시하는 경향이 있다"며 "예전처럼 회사가 신입사원을 뽑아 트레이닝하는 것이 아니라 직무 능력을 갖춘 사람을 뽑으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올해 하반기 수시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 비중은 48.8%로 집계됐다. 수시채용은 공개채용과 달리 기간을 정하지 않고 수요가 생겼을 때 채용하는 방식으로 경력자들에게 좀 더 유리하다고 평가받는다.
다만 1∼100대 기업에서는 '수시채용 계획 있음' 비중이 30.0%로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삼성이 국내 주요 대기업 중 유일하게 공채 제도를 유지하는 상황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수시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공개채용과 수시채용의 비중을 조사한 결과 수시채용이 79.5%, 공개채용이 20.5%로 나타났다.
재계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대졸자 공채 제도를 가진 나라는 한국과 일본 정도"라며 "국내 기업들도 수시, 경력 중심의 채용 트렌드로 옮겨가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한편, 대기업 대졸 신입직원의 평균 연봉은 4천671만원으로 조사됐다. '4천만∼4천500만원'이 26.5%였고 '5천만∼5천500만원' 23.1%, '4천500만∼5천만원' 19.0% 순이었다.
하반기 채용시장의 변화로는 '수시채용 증가'(22.0%)가 가장 많이 꼽혔고 '경력직 채용 확대'(19.5%)가 뒤를 이었다. '중고신입 선호 현상 심화'와 '조직문화 적합성 검증 강화'가 나란히 16.2%로 집계됐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찾은 장동혁 "TK 신공항·미분양 매입 적극 추진"
李대통령 "외국 군대 없으면 자주국방 불가능? 굴종적 사고"
사퇴 압박받는 조희대 "법은 통치수단 아닌 백성 삶 향상시키는 토대"
李대통령, "美 3천500억불 요구 수용시 금융위기 직면"
"사법 파괴 중단하라" 국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5년여 만에 장외투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