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기 먹는 하마' AI 데이터센터 확대…전력 수요 대응 절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한경협 'AX 시대 급증하는 전력수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세미나
AI 인프라 전력수요 연평균 15% 증가…2030년 20배 폭증 전망
수소발전·원전 등 무탄소 발전 활용, 송전로 확보 위한 제도 개선 필요

안호영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왼쪽 다섯번째),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왼쪽 여섯번째)을 비롯한 내빈들이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안호영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왼쪽 다섯번째),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왼쪽 여섯번째)을 비롯한 내빈들이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AX시대 급증하는 전력수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세미나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인공지능(AI) 시장의 확장에 따른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에 대응한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원자력 발전을 포함한 무탄소 전력원을 활용하는 것은 물론, 송전선로 계획 및 투자 단계에서부터 민간기업이 참여하는 상향식 계획을 수립해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담보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2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의원실, 대한전기협회와 함께 'AX(인공지능 전환) 시대 급증하는 전력수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세미나를 열었다.

올해 나온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 따르면 올해 106.0GW(기가와트)인 국내 에너지 수요는 2030년 118.1GW, 2038년 145.6GW로 커질 전망이다. 특히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AI 데이터센터가 늘어나는 점이 큰 영향을 미친다.

빈센트 자카몬 국제에너지기구(IEA) 에너지분석관은 "데이터센터 글로벌 전력수요는 작년 415TWh(테라와트시)에서 2030년 945TWh까지 연평균 15% 증가할 것"이라며 "주로 도심 주변에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데이터센터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현재 건설 중인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는 현존 데이터센터의 20배가 넘는다"고 지적했다.

주제 발표를 맡은 에너지 컨설팅 기업 솔루션스트레트지파트너스의 함완균 대표는 "예측이 어려운 전력 수요에 대응하려면 민간기업이 송전선로 계획과 투자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미국 구글 등의 사례를 들어 "한국과 달리 미국은 민간기업이 참여하는 상향식 계획에 기반해 데이터센터 전력 문제를 해결하는 구조로 전환하고 있다"며 "유연한 계획 시스템은 정부의 예측 부담을 낮추고 민간의 역량을 활용하는 계기로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미국 데이터센터 대표기업인 에퀴닉스 코리아의 장혜덕 대표는 "전력공급의 주체가 국가에서 민간으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데이터센터의 무탄소에너지 확보가 시급하다"며, "재생에너지의 보급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친환경 수소 및 원자력을 포함한 모든 무탄소 전력원을 활용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방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때는 인근의 대형 발전소에서 전력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울산에 AI 데이터센터를 건설 중인 SK텔레콤의 이영탁 부사장은 "미국, 일본, 영국 등 주요국은 정부가 AI 활성화 정책을 제시할 때 기존 발전소의 활용도 제고 등 전력수요 급증 대응 방안을 같이 발표한다"며 우리 정부도 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충에 나서는 만큼 해외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